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강남권 아파트를 보유해 '다주택자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해당 아파트 한 채를 시세보다 4억원 낮춘 가격에 급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매각 직후에는 계약금을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9일 "중개인이 오늘 아침에 가격을 내리자마자 곧바로 팔렸다"며 "계약금도 오전 중 입금됐다"고 밝혔다. 계약은 이날 오전 중 체결됐으며, 매수자는 현장을 직접 보지 않고 계약금을 송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130.89㎡(약 47평) 두 채를 배우자와 공동 명의로 보유해왔다. 첫 매입은 2002년, 이후 2019년 12월 동일 단지 내 두 번째 아파트를 추가 매입해 두 채 모두 실거주 용도로 사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원장은 최근 국정감사 과정에서 고위 공직자의 다주택 보유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아파트 한 채를 자녀에게 증여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아빠 찬스'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처분 방식에 대한 논란이 커졌다. 논란이 이어지자 그는 증여 계획을 철회하고 매각으로 선회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 원장은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실거래가가 18억원이던 해당 아파트를 20억 원에 내놓은 데 이어, 이후에는 22억 원으로 호가를 올린 사실이 알려지며 야권의 공세를 받았다.
이에 이 원장은 28일 오후 중개인에게 전화를 걸어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가격을 낮춰서라도 무조건 빨리 팔아달라"는 뜻을 전했고, 29일 오전 기존 매매가에서 4억 원을 낮춘 18억 원으로 매물을 조정했다. 이후 몇 시간도 지나지 않아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해당 아파트는 매매가 성사되면서 현재 포털 부동산 플랫폼에서는 매물 정보가 삭제됐으며, 동일 평형대의 다른 매물은 19억~27억 원대에서 호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원장은 아파트를 처분한 직후, 매각 대금 일부를 ETF에 투자했다. 그는 이날 오후 KB증권 여의도 영업부금융센터를 방문해 일반 투자자들과 동일한 절차를 거쳐 ETF 상품에 가입했다.
이 원장이 가입한 상품은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투자한 상품과 비슷한 국내주식 지수형 ETF로 알려졌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 9월 증권사 CEO들과의 만남에서 지수 ETF 투자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번 ETF 투자는 정부의 '부동산 자산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이동'이라는 정책 방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비자 보호 강화 기조에 따라 금융회사의 상품 판매 과정을 직접 경험하려는 취지도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축의금' 논란 최민희,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깨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