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대구를 비롯한 지방 대도시의 아파트 거래가 빠르게 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고강도 규제가 시행되면서 규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 시장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963건으로, 대책 발표 직전 16일(816건)보다 18.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5대 광역시와 세종시의 거래량은 3천723건에서 4천520건으로 21.4% 늘었다. 광주는 41.4%로 증가폭이 가장 컸고, 울산(29.1%), 부산(22.8%), 세종(18.4%), 대전(2.2%) 순이었다. 반면 서울은 5천389건에서 1천188건으로 77.9% 급감했다.
부동산 업계는 서울에 몰렸던 투자 수요가 지방 대도시로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대구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고강도 대출 규제 탓에 서울·수도권에서 주택 매입이 어려워지자 광역시를 대체 투자처로 찾는 움직임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거래가 늘면서 공급 지표도 회복세를 보인다. 지난달 31일 국토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대구의 9월 인허가 물량은 1천514가구로 1년 전(17가구)에 비해 88배 가까이 급증했다. 올해 누적 인허가는 3천93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5% 증가했다.
거래량 역시 회복세다. 9월 대구의 매매거래는 2천598건으로 전달보다 29.3%, 1년 전보다 17.1% 늘었다. 전월세 거래도 6천219건으로 18.5% 상승했다. 미분양 물량은 9월 말 기준 8천537가구로 전달보다 2.6% 줄었다.
다만 착공과 준공은 감소세다. 9월 착공은 18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90.4% 줄었고, 준공도 374가구로 81.5% 감소했다. 즉각적인 공급 회복이 지연되면 거래 회복세가 일시적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구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구는 100주 연속 가격 하락세지만 전세가 상승과 일부 지역의 매매 반등이 나타나고 있다"며 "거래 회복이 실질적인 시장 전환으로 이어질지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장동혁 "내년 지방선거 '제2의 건국전쟁'…서울서 성패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