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APEC CEO 서밋 특별기획전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한상공회의소 주최
김수자·김종학·이배·하종현 등
한국 현대미술 대표 작가 10인 작품 전시
11월 9일까지 경주 플레이스씨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이배, 하종현). 숨프로젝트 제공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김종학, 이수경). 숨프로젝트 제공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신경균). 숨프로젝트 제공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Summit)을 기념해 마련된 특별기획전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가 경주 복합문화공간 플레이스 씨에서 펼쳐지고 있다.

전시는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현대미술 기획사무소 숨프로젝트가 기획했다. 지난달 28일 열린 개막식에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이 지닌 독창적 사고와 미감을 세계에 알리는 뜻 깊은 자리"라며 "오늘날 비즈니스와 기술, 특히 AI 시대에는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이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 전시를 통해 한국 예술가들의 창의력이 새로운 산업과 혁신의 영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에는 김수자, 김종학, 민병헌, 박제성, 신경균, 이배, 이수경, 하종현, 함경아, 허명욱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10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전시의 서사는 조선 후기 임당 백은배의 '임당인책가도'에서 출발해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동시대 미술로 확장된다. 작가들은 각기 다른 재료와 감각을 통해 일상 속 감정의 층위를 탐구한다.

김수자는 '보따리' 연작과 빛의 파사드 설치로 이동과 공존의 리듬을 제시하고, 하종현은 ʻ배압법' 회화를 통해 물질의 저항과 정신의 응집을 시각화한다.

이배는 숯 조각을 통해 소멸과 순환의 미학을, 이수경은 '번역된 도자기(Translated Vase)'로 상처와 치유의 미학을 구현한다. 함경아는 북한 자수 장인과의 협업을 통해 분단의 감정적 균열을 시적 언어로 직조한다.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박제성). 숨프로젝트 제공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함경아). 숨프로젝트 제공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민병헌). 숨프로젝트 제공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 전시 전경(허명욱, 이수경). 숨프로젝트 제공

민병헌의 흑백 사진은 빛과 어둠, 시간의 층위를 섬세하게 포착하며, 김종학은 강렬한 색채와 붓질로 자연의 생명성과 감각적 환희를 재현한다. 신경균은 달항아리의 비움과 충만을 대비시켜 단순성과 장엄함의 미학을 구현한다.

허명욱은 옻칠의 반복적 층위를 통해 시간의 깊이와 수행성을 표현하고, 박제성은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동시대 시각 체계의 무의식을 탐구한다.

전시를 총괄 기획한 이지윤 숨프로젝트 감독은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번 전시를 통해 예술이 국경과 언어를 넘어 서로를 이해하게 하는 가장 인간적인 매개임을 보여주며, 단순히 '한국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동시대 작가들이 세계의 보편적 언어로 사유하고 응답하는 장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해, 전시 참여 작가들이 특별히 준비한 스페셜 에디션 작품을 소개한다.

'설악산 화가' 김종학은 이번 행사를 위해 전례 없는 신작을 선보이며 총 30점의 리미티드 에디션 판화를 준비했고, 오랜 시간 도예에 대한 깊은 탐구를 이어 온 신경균은 소형 찻잔과 오동나무 받침 세트 50점을 제작했다. 이수경은 지난 10여 년간 이어온 '번역된 도자기' 시리즈의 연장선으로 특별한 에디션 도자기 작품을 선보인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젤라틴 실버 프린트 작가 민병헌의 한정판 사진집 '산수경', 옻칠이라는 한국적 재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허명욱의 가구와 집기도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11월 9일까지 이어진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