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대한민국 산업의 경쟁력은 뒷전으로 한 채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무리하게 설정했다는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NDC 달성을 위한 원자력 발전 활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한편 충분한 정부의 재정 지원이 없다면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국민에게 비용이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 같은 주장은 11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경제부처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비례)이 펼쳤다.
김위상 의원은 이날 정부의 2035 NDC(2018년 대비 53~61%) 결정과 관련해 "NDC 설정은 향후 산업 경쟁력과 전략 체계, 지역 경제의 방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국가 전략"이라며 "하지만 정부는 자국 산업의 경쟁력은 고려하지 않고 국익은 뒤로한 채 NDC 수치만을 경쟁하듯 올리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산업계 또한 탄소 감축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지원 없이는 48%도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정부의 전향적 예산 편성을 촉구했다.
그는 NDC 달성을 위해선 원자력 발전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이라는 과제 아래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며 "그것은 바로 원자력으로 복귀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원전의 경우 전력 생산 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12g으로 석탄(820g), 천연가스(490g), 태양광(27~48g)보다 낮은, 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만으로는 간헐성 문제로 인해 전력 수급이 불안정하므로 반드시 원전과 같은 기저 전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배출권 거래 등 발전사의 비용 증가가 결국 국민에게 전가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내놨다.
김 의원은 "증가된 발전사 비용은 결국 한국전력에 전력 구입비로 청구하게 되고 한전은 기후환경요금으로 국민에게 청구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국민에게 잘 알려야 한다"며 "에너지 정책이 성공하려면 기획재정부의 꼼꼼한 재정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정성호 "대장동 사건은 성공한 수사, 성공한 재판"
"국민 절반 이상…李대통령 공직선거법 재판 재개해야"
국힘 "범죄자 대통령때문에 나라가 엉망진창…물러나라"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