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울 상위 20% 아파트 가격 하위 20% 7배 차이…시장 양극화 심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 한 부동산에 급매 안내문이 여럿 붙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 한 부동산에 급매 안내문이 여럿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KB부동산 월간 주택 가격 동향 시계열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달 서울 5분위(상위 20%) 아파트 평균 가격은 33억4천409만원으로 30억원을 돌파한 지난 5월보다 3억 넘게 올랐다.

이에 반해 서울 1분위(하위 20%) 아파트 평균 가격은 4억9천536만원으로 지난해 1월(4억9천913만원) 5억 밑으로 하락한 뒤 22개월째 4억원대다.

서울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격차는 역대급이다. 서울 아파트의 상위 20%를 하위 20%로 나눈 값인 5분위 배율은 6.8에 이른다. 이는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로 고가 아파트 한채로 저가 아파트 7채를 매입할 수 있는 셈이다.

부동산 업계에선 이같은 현상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대출 규제 강화에다 신규 주택 물량 감소 우려, 분양가 상승 등으로 서울 외곽 거래량이 실종된 반면 강남 등 상급지는 수요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 10·15 부동산 규제 전(10월 1~14일) 강남3구 신고가 거래량은 67건이었으나, 발표 이후(15~28일) 108건으로 61.2%나 늘었다.

업계에선 이처럼 양극화가 심화한 것은 대출 규제 강화에 있다고 짚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출 의존도가 높은 중저가 수요층은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양극화가 심화됐다보니 대출 규제와 관계없이 현금으로 물건을 거래하는 물량이 늘어나고 있다"며 "결국 부동산 규제가 서민 주거를 안정시키기보다 오히려 시장을 왜곡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