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2026년도 예산안 14조 363억원 편성… "민생 회복·미래성장 견인에 중점"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생회복·저출생 대응·포스트 APEC 투자 강화… 미래성장·안전망 구축에 예산 배분 집중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는 총 14조 363억원 규모의 2026년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해 11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 본예산보다 7천745억원(5.8%) 증가한 규모로, 일반회계는 6천328억원(5.4%), 특별회계는 1천417억원(9.2%) 늘었다.

도는 지방세 및 세외수입 등 자체수입이 4.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고보조금 등 이전수입이 7.8% 증가하면서 전체 예산 규모가 확장됐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속에서도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되 민생경제 안정과 미래먹거리 투자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내년도 예산안의 중점 투자 분야는 ▷민생안정·경제위기 극복 ▷농정·산림·해양 대전환 ▷저출생 대응 ▷포스트 APEC·K-한류 확산 ▷복지·안전 강화 등이다. 도는 3년 이상 지속된 지방보조사업에 일몰제를 적용하고, 부진 사업은 축소·폐지하는 등 성과 중심의 재정운용 기조도 강화한다.

주요 사업 분야별로는 침체한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소상공인 육성자금 이차보전(40억원), 상권활성화 사업(59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395억원) 등을 추진한다. 중소기업 경영 안정을 위한 운전자금 이차보전(76억원)과 K-통합 마케팅 생태계 조성(33억원) 등 기업 경쟁력 강화 사업도 포함됐다. 또 미·중 관세전쟁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피해기업 이차보전 예산(10억원)도 반영했다.

미래 신산업 육성에도 힘을 싣는다. 수소연료전지 산업클러스터(150억원), 첨단 제조혁신 테스트베드 구축(49억원),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15억원) 등 에너지·소재·반도체 분야 투자가 확대된다.

지난달 제정된 초대형 산불피해 특별법을 이행하기 위한 예산도 대폭 반영됐다. 산림경영특구 운영(3억원), 산불피해지역 복구재생(148억원), 조림사업(234억원), 산림생태복원(40억원) 등이 포함됐으며, 임산물 생산기반 조성(19억원)과 산림부산물 자원화 시설(3억원)도 추진된다.

저출생 대응 분야에서는 K-보듬6000(84억원),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12억원), 다자녀 큰집마련 지원(8억원) 등 시즌3 정책이 이어진다. RISE(지역혁신 중심대학 지원체계) 사업에만 2,737억원이 투입되며, K-U시티 연구지원센터(101억원), 기회발전특구 지원(9억원)도 포함됐다.

APEC 이후 관광·문화 확산을 위한 사업으로는 정상회의장 기념관 조성(25억원), 포스트 APEC 미디어월 조성(5억원),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화사업(4억원) 등이 편성됐다. 경주 글로벌 CEO 서밋 창설(10억원), 2026 PATA 연차총회(10억원), 세계 경주포럼 국제학술대회(2억원)도 지원한다.

복지·의료 분야에서는 의료인력 인건비 지원(50억원), 의료원 기능보강(82억원), 경영혁신(76억원)을 추진하고, 의료취약지 인력 지원(14억원)과 기능강화 보건진료소·원격협진 사업(15억원)을 확대한다.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승차(86억원)와 경로당 행복밥상(4억원)도 이어진다.

도는 제출된 예산안은 도의회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0일 최종 확정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번 예산을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활력 회복, 미래세대가 살아갈 '경북시대' 구축의 마중물로 삼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