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권 대학들, AI 부정행위 대응은 '검증 중심'…가이드라인은 미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AI 부정행위, 대구권 대학도 '검증 중심' 대응에 나서
윤리교육 부족·가이드라인 미비…대학별 대응 수준 엇갈려

인공지능(AI)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경북대 본관 전경
경북대 본관 전경

대구권 주요 대학들이 인공지능(AI) 활용 부정행위 확산에 대응해 표절 검사와 처벌 고지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대학이 여전히 '검증 중심'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윤리 교육과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13일 대구권 주요 7곳 대학에 따르면, 대학 대부분이 현재 AI 부정행위 예방의 초점을 '검사 프로그램과 행정 절차'에 두고 있다. 이들은 과제물 표절 검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경북대는 매 학기 시험 전 부정행위 방지와 처벌 기준을 안내하는 가운데, 'AI 표절 검사툴' 도입을 논의 중이고, 영남대는 'GPT Killer'를 올해부터 활용하고 있다. 계명대 역시 AI 탐지 프로그램으로 과제 신뢰성을 확보하고, 대형 강좌에는 별도의 시험 감독관을 배정한다. 대구가톨릭대는 표절 검사 시스템에 'AI 판별 기능'을 추가하고, 'AI 활용 강령'을 고지했다.

또한 비대면 시험의 부정행위 가능성을 줄이고자 대면 시험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영남대는 지난해 1학기에 온라인 시험 제도를 전면 폐지했고, 컴퓨터 기반 시험도 전용 강의실에서 감독관이 상주하고 있다. 경북대는 원격수업 운영지침에 따라 비대면 강좌도 대면 시험을 원칙으로 운영한다.

대구대는 "성적평가는 출석 시험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해, 온라인 강의라도 특별한 사유가 아니면 대면 시험을 진행하고, 대구한의대도 비대면 수업을 하더라도 시험은 대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대형 강의 관리도 강화했다. 계명대는 대형 강좌의 경우 담당 교원 외에 본부에서 시험 감독관을 직접 추가로 배정해 시험 감독을 지원한다. 대구대는 이번 학기에 대면 수업의 최대 수강 인원을 120명, 원격수업은 220명으로 제한했다.

대학들이 표절 탐지나 처벌 고지로 1차 방어선을 구축했지만, 학생의 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를 길러줄 체계적 교육은 부족한 상황이다. 교양과목이나 비교과 프로그램 등 일부 교과목에서 AI 윤리를 교육하지만, 전체 학생 대상 필수 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교내 가이드라인도 일부만 있는 상황이다.

대학 관계자들은 "AI가 업데이트되면 탐지 프로그램도 다시 따라가야 하는 구조"라며 "항상 한발 늦을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AI를 단속의 대상만이 아니라 학습 도구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윤리 교육 대상을 점차 확대하고,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도입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