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한미 정상회담 팩트시트와 한미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에 대해 뒤늦게 공식 반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논평을 통해 "대결적 기도가 다시 한번 공식화, 정책화 됐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이익, 지역의 평화수호를 위한 보다 당위적이며 현실대응적인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공동 합의 문서들은 우리 국가에 끝까지 적대적이려는 미한(美韓)의 대결 의지와 더욱 위험하게 진화될 한미 동맹의 미래를 진상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3천800여 자에 달하는 장문의 논평에는 팩트시트·SCM 공동성명의 여러 내용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는 입장이 담겼다.
먼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 계기"라며 미국이 한국과 함께 정상급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확약한 것은 "우리의 헌법을 끝까지 부정하려는 대결 의지의 집중적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미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대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쓴 것을 두고 "우리 국가의 실체와 실존을 부정한 것"이라며 강조했다. 이어 "미국이 스스로 파기하고 백지화한 과거의 조미합의 이행을 운운하는 것이야말로 파렴치의 극치"라고 비난했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에 대해서는 "조선반도 지역을 초월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군사안전 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전지구적 범위에서 핵 통제 불능의 상황을 초래하는 엄중한 사태"라고 경고했다. 또, "(동북아) 지역에서 '핵 도미노 현상'을 초래하고 보다 치열한 군비경쟁을 유발하게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북한은 이번 팩트시트 및 SCM 공동성명에 대한 반응을 당국자 명의의 공식 성명이나 담화가 아닌 조선중앙통신 논평 형식으로 냈으며, 노동신문에도 실리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을 실명 비난하지도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김성열] 대구시장에 출마하려면 답하라
"항소포기로 7천800억원 날아가"…국힘, 국정조사 촉구
[화요초대석-김영수] 국가가 망가지고 있다
박민영, '장애인 비하' 논란에 "경솔했다…앞으론 신중히 임하겠다"
李대통령 지지율 54.5%…'대장동 항소포기' 논란에 3주 만에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