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TK신공항 1년 이상 공회전 위기감…"예산 일부라도 확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TK신공항 사업비 전액 미반영…일부 예산이라도 확보해 토지 보상부터 착수 목표
취수원 이전, 정부 타당성 용역 돌입…1년 이상 소요 전망에 "조속한 정부 결정 촉구"

10일 대구 도심에
10일 대구 도심에 '이재명 대통령님! TK신공항도 챙겨주십시요!'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 양대 현안인 대구경북(TK)신공항 건설과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중대 분기점에 놓였다. 특히 TK신공항 건설은 재원 조달 문제로 인해 내년부터 1년 이상 사업이 장기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최소한의 일부 예산이라도 확보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18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7일부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예산소위) 심사에 대응하기 위해 국회에 상주하며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예산소위가 본격 가동돼 사업비 반영 여부가 판가름나는 만큼, 시는 정부 기금운용계획안에서 전액 미반영된 2천795억원 중 일부라도 되살리는 것을 최대 목표로 하고 있다.

연내 예산 확보에 실패할 경우 TK신공항의 교착 상태는 장기화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사업 일정은 1년 이상 미뤄질 가능성이 크고, 내년 7월 새로운 대구시장이 취임하더라도 사업 추진에 제약이 큰 상황이다.

토지 보상을 비롯해 기본 및 실시설계 과정에만 통상 2년여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는 사전 절차부터 착수해 최대한 공사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추가적인 부담 요인도 떠오르고 있다. 이전 부지인 대구 군위군이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요구하며 보상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해제 시 지가 상승이 불가피해 추가 보상비가 급증할 가능성이 커지고, 이는 초기 자금 부담을 더욱 키우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보상 절차는 한정된 예산으로 단계별 보상을 할 수밖에 없어 가장 까다로운 단계로 꼽히는 만큼, 착수 자체가 늦어질수록 불확실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일부 예산만이라도 반영되면 그 범위 내에서 즉시 보상 절차에 착수해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며 "최소한의 사업 착수 여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의 경우 정부의 조속한 결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현재 정부는 구미 해평취수장 이전안을 중심으로 새 대안인 강변여과수, 복류수 등 취수 방식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내년 초부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타당성 및 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문제는 용역 기간에만 1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전 방안에 대한 정부의 최종 결정이 더 미뤄질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충분한 수량 확보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 대구시 하루 평균 취수량은 60만톤(t)에 달하며, 향후 TK신공항 건설 등에 따른 수량까지 감안하면 63만t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신공항의 경우 군위댐을 활용한 용수 공급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충분한 수량은 물론 시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수질을 갖춰야 하며, 정부 결정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