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도시 기준, 인구보다 기능이 중요"…구미시,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 개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 21일 열린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서 대도시 적용 기준 완화 논의
동구미역·신공항철도 연결 등 기반시설 확충 필요성 및 주문 의견도 나와

경북 구미시가 지난 21일
경북 구미시가 지난 21일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을 열고 대도시 특례 확보를 위한 시민 공론화의 장을 마련했다.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가 지난 21일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을 열고 대도시 특례 확보를 위한 시민 공론화의 장을 열고 논의에 나섰다.

다음 달 22일 국회에서 열리는 '인구 50만 대도시 기준 완화를 위한 구미·원주·아산·진주 4개 도시 연합포럼'을 앞두고, 전략 방향 점검 및 시민 인식 공유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23일 구미시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서 구미시가 대구경북의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대도시 기준 인구 50만 명의 30만 명으로의 완화, 동구미역 신설을 비롯해 구미역과 신공항선이 연결되는 동서철도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기조강연에서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비수도권 대도시 쇠퇴가 가속화되는 현실에서 인구수만으로 도시 위상을 규정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일본 중핵시 사례처럼 인구 기준 완화와 면적 요건 폐지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박현욱 경기대 교수는 주제발제를 통해 구미시의 산업·생활권 특성을 기반으로 한 대도시 특례 지정 필요성과 시민 주도형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지정토론에서는 김귀곤 국립금오공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봉교 구미시 지방시대위원장, 정우성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유수동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윤필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연구위원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지정토론에서는 신공항철도에 '김천~구미역~동구미역'으로 이어지는 동서철도망의 연결, 구미에서 포항 신항만을 직결하는 철도노선 신설 등도 제안 의견으로 나왔다.

김봉교 구미시 지방시대위원장은 "구미는 반도체 특화단지, 방산 혁신클러스터, 3천 개 이상 기업이 입지한 산업 거점 도시로, 실질 행정수요는 100만 대도시에 가깝다"며 "신공항 개항에 대응하려면 대도시 특례 확보가 선결과제"라고 했다.

윤필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연구위원은 "현 정부의 국정과제에 50만 대도시 특례는 포함돼 있지 않다"며 "현실적으로는 법 개정을 통한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정성현 구미시 부시장은 "지방시대는 거스를 수 없는 큰 흐름이며, 이제는 지역이 스스로 방향을 묻고 길을 찾는 시점이다"며 "이번 포럼에서 확인된 공감대를 바탕으로, 구미가 지방분권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