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160명이 넘는 검사들이 옷을 벗는 등 검찰에서 이른바 '엑소더스(exodus·대탈출)' 현상이 현실화하고 있다.
특히 동시다발적인 특검 차출로 인한 극심한 내부 인력난까지 겹치면서 사직하는 검사 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23일 법무부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0일까지 퇴직한 검사는 161명이다. 이미 지난해 퇴직자 132명을 넘어섰고, 정권 교체기였던 2022년의 146명보다도 많다. 최근 10년간 통계를 통틀어 가장 많은 수치다.
특히 퇴직자 중 근무 경력 10년 미만의 저연차 검사가 52명으로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연도별 10년 미만 검사 퇴직자를 보면 ▷2021년 22명 ▷2022년 43명 ▷2023년 39명 ▷지난해 38명으로, 50명을 넘었던 적은 없었다.
정권 교체 이후인 지난 9월에만 47명이 사표를 내면서 '엑소더스'는 더욱 뚜렷해졌다.
정부와 여당이 검찰청 폐지를 핵심으로 하는 검찰개혁을 강하게 추진하는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선 검사들은 연일 초과근무를 하며 폭증한 형사 사건을 처리해 왔음에도, '개혁의 대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는 점에서 불만이 적지 않다.
박철우 서울중앙지검장 등 새 지휘부는 신속한 사건 처리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미 3개 특검에 100여 명이 차출된 데다 '관봉권·쿠팡 의혹' 상설특검에도 인력을 추가로 파견해야 해 인력난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수사·기소 분리와 검찰청 폐지 논의로 조직 존립 기반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대장동 항소 포기 등 연이은 논란이 이어지며 조직 사기가 떨어진 만큼 연말까지 퇴직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비수도권의 한 부장검사는 "대장동 항소 포기로 인한 수뇌부 공백 사태와 1년 앞으로 다가온 검찰청 폐지 추진 속에서 사기가 꺾인 검사들이 승진에 대한 기대를 접고 떠나는 사례가 많다"며 "검찰도 비상계엄에 가담한 공직자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만큼,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사직자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큰손 사업가, 오만해"…北, 부부 총살형에 아이들까지 강제 참관
조국, 부산시장 출마?…"전당대회 이후 마지막에 결정"
與전현희 "패스트트랙 솜방망이 처벌, 나경원 '개선장군' 행세"
"창문없는 지하 2층·6평에 3명 근무"…유튜버 원지, 사무실 논란에 꺼낸 말
홍준표 "오세훈 세운상가 재개발 지지" 여권 종묘 뷰 비판엔 "덕수궁 앞 플라자호텔도 철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