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당의 사회복지 소위는 허례허식과 과소비를 강력 규제하기 위해 가정의례법 개정을 추진중이다. 경적사에 청첩장.신문부고및 화환사용을 일절 금지키로 하고 묘지면적을 3평이내로 규제한다는 것이 주요골자다. *적극 찬동할사람도 있겠고, "또 그소리"하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일 계층도 있겠다. 이땅에 {가정의례준칙}이 등장한것은 유신정권하인 73년5월27일, 그뒤 의례법으로바뀌는등 20년의 세월동안 법은있되 잘 지켜지지 않는 형해만의 법으로 남아있다.*호텔.예식장에 단속반을 상주시키고 비탄에 잠긴 상가에까지 단속의눈길이 번득였다. 고발당한 상주가 상복을 입은채 경찰에출두 조사를 받는 2중의비극도 있었다. 답례품대신 식사를 대접하는 장소에 뛰어들어 혼주를 연행하려다 {예의도 모르느냐}는 노인들의 호통에 단속원이 쨌겨나는 희비극도 연출됐다. *현실과 동떨어진 의례법이란 항변이 이어지다가 80년대 후반들어서는 의례법 폐지론이 대두됐다. 관혼상제를 법대로 실천할수 있었던 사람은 형편이 닿지않는 빈곤계층뿐이었다. 결국 가정의례는 강제와 타율로 길들여지는게 아니라 자기각성과 자율에 의존할수밖에 없다는 교훈을 남겼다. *9월국회에 상정될 강화된 가정의례법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답례품 금지가 예식장 주변을 거대한 사당촌으로 만들었듯이, 경.조간 또다른 탈법.편법이 연출되리라 보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