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년대 민난의 주도층은 가사의 역할을 신뢰하였으며, 민중은 이들을 매개체로 충분히 교감하며 격발되었다는 주장이 나왔다.계명대 최미정교수(국문학)는 생곡논총 제24집에 게재한 {1800년대의 민란과국문시가}라는 논문에서 19세기에 {장연작변}(1804) {홍경내난}(1811) {청주괘서사건}(1826) {거창민요}(1836) {진주민난}(1862)등이 일어났을 때 국문시가는 실재하는 현실적인 힘이었으나 이들은 현실의 무력에 대항할 수 없는 무력성으로 쇠퇴했으며 그 잔재조차 남기지 않았다고 강조했다.최교수는 당시 가사가 근본적으로 미래의 자유와 복지를 겨냥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미래와 상관없는 현실 고발에 치중, 민요가 평정된 이후에도 눈앞의 모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더 이상 가사가 유포될 근거를 갖지 못해 우리 문학사에 전승되지 못한 채 {일회성}으로 끝나고 말았다고 밝혔다.
소모의 역할을 하였던 가사들이 현실에 대한 고발 기능뿐만 아니라 미래에대하여 더 큰 용기를 약속하고 삶의 고달픔을 더 확실한 가능성으로서 따뜻하게 위로하는 내용이었다면 난의 실패이후에도 돌려보거나 간직할 수 있었을것이라고 최교수는 분석했다.
그러나 민중의 의견을 대변하여 지배적인 인상만을 전하는 민요는 결말구조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열려진 형식이어서 지속되고 있다. 홍경래란에서의짧은 동요는 홍경래난의 진행방향을 암시해주는 것으로, 동학난에서의 {가보세/가보세/을미적 을미적/병신되면 못간다}하는 노래도 동학난이 갑오년에 시작되어 병신년에 끝날 것을 예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교수는 1800년대 민란시대는 우리말과 글의 효용가치를 극대화시킨 기회였으나 현실과 작품의 엄청난 괴리가 이 작품들의 소유난 전사를 의미없게 하였으며, 결국은 가사가 전혀 남지 않기에 이른 것이라고 밝히며, 자료가 거의없다고 하여 이 시기를 민중의식이 쇠퇴한 시기로 파악하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