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본, 전쟁 전부터 위안소계획

구일본육군이 태평양전쟁 도발 반년전부터 이미 위안소신설과 종군위안부 모집 및 배치등을 구체적으로 검토.지시한뒤 위안부를 강제연행했던 사실이 한민간단체가 공개한 자료에서 확인됐다.민간단체 {일본의 전쟁책임 자료센터}는 26일 일본정부의 한국인출신 전종군위안부 면담.청취조사 개시에 맞춰 일제당시 육군이 위안소 설치와 강제연행에 깊이 관여했음을 보여주는 일방위청방위연구소 소장자료들을 발표했다.자료 가운데 구육군 의사과장의 업무일지에 따르면, 태평양전쟁 발발전인39년3월부터의 군의무국 간부회의와 현지시찰 보고등을 통해 중국과 남방(동남아)에 사병의 부녀자 폭행과 성병만연이 우려된다며 {장교이하를 위한 위안소시설을 모두 4백개소 만들어야한다}고 말했고, 당시 네덜란드령이던 인도네시아를 시찰한 군의도 점령후 엄격한 성병검사와 함께 위안소설치 필요성이있다고 보고한 내용이 들어있다. 자료는 이어 43년9월까지의 기록에서 각지의위안소 부족과 확충필요성을 강조하는등 일본군이 전쟁을 일으키기 전부터위안소를 면밀히 계획, 육군주도하에 시행.관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자료 가운데 육군간부의 대화내용을 보면, 당시 군무국장이 [조선반도에는징병제, 대만에는 지원제를 요청하는 소리가 높다]고 말한데 대해 병무국장은[조선반도의 현지원병제는 실제로 지원에 의한 모병은 적고 사실상 강압에의한 지원형식이 많다]고 발언, 말로만 지원제였음을 분명히 하고있다.이같은 자료 60여점을 공개한 이 단체회원 길견의명교수(일중앙대)는 이날일본정부가 강제연행을 입증할 자료가 없다고 밝히고 있는것과 관련, [위안부의 강제연행 사실이 공문서에는 기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같은 업무일지나 일기등 기록을 보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며, 앞으로도 얼마든지 발견될 것]이라며 강제성을 인정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일본정부 소식통은 이날 서울에서 한국인출신 전종군위안부 청취조사가개시된 것과 관련, {이들의 증언만으로 문서입증자료가 없어도 강제연행을인정하는 일은 절대 없을것}이라고 말했다고 산케이(산경)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이소식통은 {책임있는 국가로서 반드시 태도를 밝혀야 하지만 증거자료없이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일본의 명예와 관련되는 일}이라고 청취조사에 의한 강제연행 인정은 하지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는 것.

이에앞서 정부대변인 고노(하야양평)관방상은 [조사결과를 가능한한 조속히성실하게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차기정권 출범전 미야자와 정권내에 꼭 발표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