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협상등 농수산물 개방화추세에 대응하여 경쟁력있는 기술농업을 실현하기위해서는 전문적인 생산자조직과 가격정책추진체계의 정비가 절실합니다"신순 우농림수산부 농산물유통국장은 17일 경주현대호텔에서 열린 농수산물유통개선과 발전방향에 관한 한.일간 심포지엄에서 {농수산물 시장.유통개선방안}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가격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위해 생산자등 각계가 참여하는 {농산물수급안정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또 "현재 1조원의 농수산물가격안정기금 운용규모를 97년까지 1조5천억원으로 확대조성하고 다품목분산지원방식을 전략품목집중지원방식으로 전환하여 기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UR협상등 국내외적으로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데 대응책은.-경쟁력있는 기술농업을 실현하기위해 농업생산의 전업화.규모화및 주산단지화로 농업구조조정과 농어민의 자율적인 품목별생산자조직의 육성이 필요하다.직거래로 유통마진을 농어민의 소득으로 귀속시키는 동시에 선도높은 농수산물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공급하기위해서는 생산자주도의 시장.유통체계구축이 필요하다.
@농수산물가공산업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낙후돼있다고 보는데 육성방안은.-현재 30%(농어민 2%)수준의 가공식품률을 2001년까지 선진국수준인 70%(농어민 30%)까지 높여나갈계획이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위하여 {농수산물가공산업육성및 품질관리에 관한 법률}이 금년 5월18일 국회에서 통과, 확정됨으로써 앞으로 생산자의 자발적인 산지가공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지원하게 됐다. 농수산물의 {명품가공센터} 시범사업을 도별로 1개군씩을 선정하여96년까지 안동.평창.남원등 8개군을 지정하여 실시한다.
@가격안정정책의 체계화가 시급하다고 보는데.
-현행 가격안정사업체계를 생산자조직중심으로 개편하고 품목별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가격정책수단을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생산자.생산자단체.가공, 유통등 관련업체.학계.공무원으로 구성된 {농산물수급안정위원회}를 설치하여농업관측과 유통예고방법, 농산물수급계획등을 심의하는 한편 농산물가격안정시책의 법적근거마련을 위해 관련된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겠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