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오한 철학도, 세상을 관조하는 눈도 내게는 없습니다. 다만 살아오는 동안 생각난 조각들을 두서없이 적어 어딘가에 싣기도 하고 긁적여두었던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40년 가까이 살아 온 박물관을 명예퇴직하고 교수(부산 동아대)로서 새 인생을 택한 전 국립경주박물관장 이난영씨(59)가 떠나는 시점에서 선보인 {부처님 모시고 가는 당나귀}(정우사)에는 {박물관 인생}으로 표현되는 그녀의 삶의 애환이 진솔하게 담겨있다.
지난 55년 서울에 출장중이던 아버지와 함께 국립박물관(당시 덕수궁)에서열린 {수정으로 본 동방미술}을 관람한 것이 그녀에게 갖가지 시련과 기쁨을안겨준 박물관과 인연을 맺은 계기였다. 까닭없이 쫓겨날 뻔 하기도 했으며온갖 일에서 아무리 최선을 다해도 여자라는 딱지를 떼 주지 않고 오히려 까다롭고 따지기 잘하는 여자로 치부되던 시절마저도 감사와 보람으로 정리하는그녀는 {박물관}이라는 부처님을 모시고 살면서 많은 사랑과 과분한 대접을받았다고 털어놓는다.
[붕긋붕긋 도시 곳곳에 흩어져 주변 산들과 조화를 이룬 신나의 고분들. 거기에 처마를 잇대서 함께 살아가는 경주시민. 그것이 곧 경주인데 잘생긴 고분 두어개만 남겨놓고 모두 개발해야 된다는 어느 도백의 말이 우스개이기를얼마나 간절히 간절히 바랐던가?]
{내일이면 늦으리}라는 단상에서 유적파괴는 초고속시대의 첨단을 가고 있는데, 그렇게 유적이 다 깨지고 나면 이미 때는 늦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현실을 질타하고 경주 시가지를 지나는 포클레인을 볼 때마다 심장이 얼어붙는듯한 두려움과 불안에 떠는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신라금관} {눈 온 만큼만} {자유를 누리려는 고집속에} {세계박물관여행기}등 전 4장에 나누어 실린 51편의 글에는 문화재를 아끼는 순수한 마음이 담겨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