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무용계의 93년은 개인공연이 저조했으나 축제성 기획행사, 국내외 춤교류, 신진춤꾼 양성등으로 내실을 다진 한해였다. 지난해 {춤의 해}를 계기로양적.질적으로 팽창했던 지역무용계는 올해 그 활기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됐으나 재정적 결핍, 무용인구 부족등의 어려움이 여전했다.올해 세차례 이상 창작공연을 가지며 비교적 활발하게 움직인 무용단은 지난1월 계명대 무용과 출신의 30대 전후 춤꾼들로 창단된 {비사무용단}(현대무용)과 기존 {장유경무용단} {대구무용단}(대표 백현순)등이다. 그러나 예산등의 어려움으로 개인창작무대보다 기획행사에 참여한 경우가 많았다.11월중순 지역의 15개 무용단체가 참가한 {93대구춤페스티벌}은 지난해에 이어 개인공연무대를 마련하기 어려운 무용단체들에게 발표기회를 주고 춤의 대중화를 꾀하는데 한몫을 한 기획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소극장축제로 지난 2일 대구에서 세번째 마련된 {지역간 연합무용제전}은 광주.부산등 지역무용단의 춤예술을 한자리서 감상하는 민간차원의 무용제전으로 그 의의를 찾을수 있다. 대구시 중요무형문화재 2호인 {날뫼북춤}등 지역전통춤을 지역무용인들이 펼쳐보인 {대구의 전통춤}공연(3월25일), 참가팀의 기량향상이 돋보인{제3회 대구무용제}등도 올해 큰획을 그은 굵직한 행사였다.국내외 무용단체들과의 교류도 꾸준해 독일. 영국무용단체와 대구.부산.전북의 무용단이 현대무용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 {제12회 국제현대무용제}가 대구서 처음 열려 관심을 끌었고, 비디오댄서 김현옥씨(계명대 전임강사)는 5월네덜란드에서 재독 작곡가 윤이상씨의 작품발표회에서 초청공연해 화제가 됐다. 또 대구시립무용단(상임안무자 구본숙)은 10월말 일본 고노준현대무용단과 합동친선공연을 대구와 서울에서 갖는 등 해외교류를 통해 안목을 넓히는작업을 계속했다. 이와함께 대전 엑스포 예술행사에 대구시립무용단과 박연진, 장유경무용단등 지역단체의 참여도 눈에 띄었다.
신진춤꾼을 양성하기 위한 시도가 두드러졌다. 7월 무용협회 대구지부(지부장 주연희)주관으로 {제1회 대구신인무용제}가 전국 신인을 대상으로 처음 마련됐고, 문예진흥원과 한국무용협회가 공동주최한 {93신세대 가을 신작무대}에 박미순양(계명대 대학원1)이 오디션을 거쳐 한국무용부문에 참가함으로써지역무용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