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국제화를 조장할 GATT가 화제다. 그러나 문화의 국제화도 경제 못지않게 중요하다. 김영삼대통령은 한국이 {국제화}되어야할 필요성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 그는 경제적 기반의 강화를 염원, 통상관계를 활성화함으로써 한국의 경제를 {국제화}할 것을 역설한다. 이것은 물론 지극히 중요한일이다. 우리가 경제적으로 같은 지구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오늘날 {지구촌}이라는 개념의 원래의 뜻은 문화적 개념에서 더욱 가까이 다가선다. 통신망이 더 발달하고 더욱 빠르고 편안하게 여행을 할수 있게 됨에 따라 각 사회간의 거리도 좁혀졌다. 그래서 문화의 국제화가 촉진된다.사람들은 자기나라의 문화적 독창성이 위협받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참다운 국제화는 문화적 특성을 상실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또 어떤 형태의혼성이나 병합과정을 거쳐서 한 문화의 {순수성}이 희석되거나 작은 문화가큰 문화에 흡수되고 마는 것을 뜻하지도 않는다. 문화의 국제화는 여러 문화가 비슷해진다는 뜻에서가 아니라 서로 다른 문화의 가치를 더욱 잘 평가할수 있게 된다는 의미에서 {더 가깝게}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국제화}는외향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서로 상대방의 문화, 가치관및 시각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공통된 이해관계나 관심사를 찾는 것을 뜻한다. 그렇게 해서 상호간에 최대의 혜택을 줄 수 있도록 공통된 이해관계를 증진시킬수 있다.
경제적 보호정책이 그것이 보호하고자 하는 것을 궁극적으로는 약화시키는것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지적 장벽은 외부로부터의 긍정적인 자극을 제한할뿐이다. 문화의 국제화만이 분쟁의 발생을 막고 또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그것이 격화되기 전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사실을 직시할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