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천년대 대구} 청사진 제시

수성.만촌.대명지구의 일반주거지역화와 공산지역 전용주거지역 신설은 대구의 공간기능을 대폭 손질한 도시계획상의 전환점이 됐다. 이번 재입안 내용은2000년대 대구개발의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필연성이 충분히 인정되나 {시기선택}의 논란거리를 남겨두고 있다.대구시는 지난 4월 도시 재정비계획을 입안하며 수성등 3개지구의 일반주거지역화를 30m 도로변 25m폭으로 제한했었다. 이같은 결정은 전용주거지역의손질이 필요한시점이나 지구전체를 일반주거지역화 하는데는 개발상의 무리가따른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의회등의 요구에 따라 재입안계획에서지구전체 1백62만평을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 15일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시킨 것이다.

시는 이번 용도지역 변경 제안설명에서 개지구가 대구인구 1백13만을 기준으로 지정됐고 *도심화로 쾌적한 주거기능실현이 곤란하다는 점을 주된 이유로들었다. 즉 2001년 3백15만 인구를 수용키위해서는 중밀도개발(ha당 인구2백-4백명)로 바꿔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였다.

그러나 시주장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아 3개지구의 과밀개발은 교통등 기반시설 부족을 초래하고 주거환경의 전반적인 악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이제기됐다. 또 87년부터 용도변경 논의가 있었으나 지구전체를 일반주거지역으로 풀만큼 개발확대가 절실했던게 아니라는 주장도 있었다. 즉 97년이후로용도변경을 늦췄어도 별문제가 없었을것이라는 이야기 였다.결국 이번 용도변경은 시기선택의 문제로 도시계획위원회가 적절한 판단을내렸는지 여부는 상당한 시간의 경과가 있어야 할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대구시는 3개지구의 용도변경이 성급하다는 일부 지적을 의식, 여러 보완책을 부대조건으로 내놨다. 그중 하나가 건축높이를 9.9m 이하로 제한한 것이고또하나는 고도제한 폐지에 따른 예상 문제점과 대책을 연구키로 한 것이다.대구시는 이와함께 공산1.2동에 백안지구.파계지구.신무지구등 3개전용주거지역을 신설,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키로 했다. 이들 3개지구는 91년 도시기본계획에서 검토됐던 내용으로 면적규모는 1백만평 정도. 시는 1차로 1백만평을 전용주거지로 지정하거나 아예 지구면적을 확대, 1백60만평으로 늘리는 방안을 모두 검토키로 했다. 시는 94년 건설부 승인절차를 밟고 95년 시 또는토지소유자들로 구획정리사업 주체를 결정, 택지개발에 나선다는 구상을 밝히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