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수가 자신의 생각, 자신의 태도에 대한 설명이나 해명이 없어 우리들끼리아무리 많은 말들을 주고받는다고 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미수가한층 높은 소리로 쏘아붙였다.[흥! 너희들끼리 떠들어 봐라, 아예 이런 태도군. 난 저러는 게 다 잘난 척하는 태도라고 생각해. 그래서 말할 수 없이 기분 나빠. 언제나 혜수 넌 그랬어. 고등학교 때도 선생님이 뭐라고 하셔도 묵묵부답이라 쟤 대신 내가얼마나 볶였는지 몰라. 혜수 일이라면 친구들이건 선생님이건 한결같이 나한테 묻곤 했다니까-. 오죽하면 내게 혜수 대변인이라는 별명이 다 붙었을까.누가 옆에서 죽어 나가도 아, 죽었구나, 그러고 말 애라구. 우리들은 상대할 것도 없다는 거야? 뭐야?]
그제서야 혜수는 아주 힘들게 한마디 하였다.
[그랬니? 난 그런 건 몰랐어. 미수야, 미안해. 어머니, 그냥 어쩌다 그렇게 됐어요]
단순히 얼버무리기 위해 하는 말은 아닌 것처럼 들렸다. 나는 순간적으로혜수를 붙들고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겠구나싶어졌다. 집안 식구들을 진정시키고 내가 조용히 얘기해 보는 게 차라리낫겠다 싶어 미수를 달랬다.
[미수야. 이제 그만 해 두렴. 어머니, 제가 혜수랑 조용히 얘기해 볼께요.그리 분별이 없는 아이도 아니고 하니 다 생각이 있을 거예요][원, 분별이 있는 아이가 그래?]
나만 믿는다는듯 한마디를 하시곤 어머니는 자리를 차고 일어서셨다. 모처럼 온 식구가 함께 모인 자리였는데 혜수 문제로 기분들이 엉망이 되어 버렸다. 공연 시작날 사라져 버렸던 혜수가 나흘만에 집으로 돌아온 것이었다.전화도 한통 없었다.
혜수가 외박을 한 다음날 걱정으로 하얗게 질린 어머니에게 나는 거짓말을하였다. 내게 미리 얘기를 했는데 내가 잊어버렸다고 둘러대곤 연극을 하고있는 혜수를 붙잡아 자초지종을 물었을 때, 뜻밖으로 혜수는 몹시 지치고어두운 표정으로 내게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