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잇따른 국정운영의 난맥상 노정에 따른 전통적 지지기반의 균열로 비상이 걸렸다.조계종폭력사태에 대한 공권력개입으로 불교계의 거센 반발을 촉발시켰고 이어 이회창전총리의 경질은 특히 개혁성공을 바라는 여론주도층들에게 충격을가했다.
깨끗한 정치를 표방하면서도 정작 상무대공사대금의 정치권유입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국정조사에는 매우 소극적으로 임해 파행적인 정국을 장기화시키는한 원인을 제공하는등 국정담당능력을 근본적으로 의심케 하고 있다.여야관계의 정상복원을 위해 하순봉대변인을 제물로 삼아 경질함으로써 민자당 내부로부터도 불만이 제기되는등 매사가 매끄럽지 못하다.이러한 지지기반의 균열현상은 확산일로를 걷고 있다.
그동안 협조관계를 유지해오던 보수적 노동운동세력인 노총의 내부분열이나극단적으로는 이를 와해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제2노총 설립움직임이 가시화되는등 노동계와의 관계도 심상치 않다.
민자당은 블루라운드에 따른 복수노조 허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에는 공감하면서도 제2노총설립에 미온적이었던 것도 바로 노동계와 여권과의 전통적인협조관계의 틀이 깨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볼수 있다.
이같은 연장상에서 교육계의 교총에 이은 전교조의 합법화문제와 의사회 변호사회등 전문직단체로의 연쇄반응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여권으로서는 곤혹스럽기만 할 따름이다.
농안법파동은 정부가 과연 UR타결이후 농촌활로를 제시할 능력이 있는가하는등 국정수행능력 전반에 대한 회의를 더더욱 가중시켰다.
특히 여권의 막강한 외곽조직이었던 관변단체에 대한 정부지원금 수혈도 이들 단체의 부정적인 행태에 대한 야당과 국민들의 정서를 감안할때 과거만 하지 못할 것이므로 예전과 같은 협조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이같이 여권지지 세력들이 하나 둘씩 이탈하는 조짐을 여권지도부는 이미 간파하고 대책마련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자당 국책자문위와 정세분석위는 대책마련이 없을 경우 내년 4개 지방선거에서 표이탈을 감수해야한다는 지적을 이미 수차에 걸쳐 당지도부에 건의했다는 것이다.
여권지도부 특히 실질적인 집권세력인 민주계는 외곽세력의 이탈방지와 보수안정 희구세력들을 끌어안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데는 공감하면서도자칫 개혁을 표방한 국정운용방향의 근본적인 궤도수정문제가 제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다급해진 민자당은 일단 관변단체및 환경, 시민운동단체등 민간차원의 활동에 대한 지원방안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계와의 관계를 복원한다해도 불교신도들의 바닥정서가 쉽사리 아물것 같지는 않다.
UR이후에 대한 농민뿐만 아닌 대부분 국민들 사이에 팽배한 불안감등을 감안할때 이러한 여권의 처방이 어느정도 약효를 거둘지는 두고볼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