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에서는 일련의 공직활성화 대책을 수립해 언론에 선 보였다. 이 배경에는 공직자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찬바람도는 사정위주보다는 {당근}을 이용한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 같다. 공직자의 보수현실화, 성과급제 도입, 인사관리의 합리화, 승진적체의 해소,구태의연한 감사방법의 개혁등이 정부가 발표한 주요 내용이다. 언뜻보면 전부 그럴듯한 내용들이다.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외양상으로 그럴듯한 활성화 대책에 대해 정작 그 수혜 대상인 관료집단이 시큰둥해 하고 있다는 데 있다. 왜 그럴까? 그 가장 큰이유는 이번에 발표된 내용의 상당부분은 이미 역대 정권에서 계속 써 먹어온 진부한 레퍼토리이기 때문이다.단적인 예로 보수현실화를 들 수 있다. 과거 정권이 바뀔때마다 보수현실화약속을 했으나 지금까지 한번도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 역대정권의 약속대로라면 80년대 종반에 벌써 공직자의 급여가 민간기업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해 있어야 한다. 그 동안 공직자들이 이런식으로 {기만}당해 왔다. 즉 정권초기 공직자들을 각종 사탕발림으로 부풀렸다가 정권말기 헌신짝처럼 약속을 저버리는 현상이 계속되어 왔던 것이다.
{행여나}가 {역시나}로 바뀌는 순간들이 너무 많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겪으면서 공직내에는 불신풍조가 만연하게 됐고,정부에서 어떤 쇄신책이 나와도 공직자들이 잘 믿지 않게 되어 버렸다.
현정부도 {공직자 부풀리기}측면에서는 과거 정부와 다를 바 없는 것 같다.이제 공직자들에게 정작 필요한 것은 구호가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이며, 가시적인 결과이다. 거창하지는 않지만 실천이 앞서는 공직활성화 대책이 필요한 때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