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청소년은 상품가격이 대체로 비싸다(65.9%)고 생각한 반면 품질은중간내지 나쁘다(72.2%)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이나 이웃가게보다 백화점을 더 선호하고, 쇼핑 다니는 것을 즐기는 편(66.6%)인 것으로 나타났다.경북대 장흥섭교수(마케팅전공)가 대구시내 중고생 9백1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소비자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국가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일'로 소비자보호단체 지원육성(36.7%) 소비자보호법만들기(33.5%) 나쁜 생산자나 판매자 처벌(22.7%) 소비자피해보상(7.1%)을 꼽았고 생산자나 판매자는품질향상에 주력해야(71.4%)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상품을 살 때는 품질(66.9%) 디자인(14.5%) 가격(6.3%) 광고(2.3%)를 우선시한다고 응답, 전체 학생중 82.1%가 광고를 보고 상품구매욕구를 느낀다는 응답과 상반되는 현상을 보였다.
가격 날짜 미표시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32.1%에 달했으며 상품을 사거나 사용하는데 보호되고 있다는 응답(1.5%)보다 잘 보호되지 않고 있다(60.9%)거나전혀 보호되지 않고 있다(17.4%)는 응답이 훨씬 높아 청소년소비자보호대책이 시급함을 암시했다.
에누리경험이 전혀 없거나 별로 하지 않았다는 반응(43.9%)이 경험자(28.4%)보다 더 많아 청소년들에게 정찰제 구매의식이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우리나라 상품의 가격에 대해서는 65.9%가 대체로 비싸다고 여겼으며 싸다는응답은 1.4%에 불과했다. 백화점에는 매우 가고싶다(7.9%) 가고싶은 편이다(37.2%)고 응답한 반면 시장이나 이웃가게에는 매우 가고 싶다(3.7%) 가고싶은 편이다(24.8%)고 답해 시장보다 백화점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외상구매 경험은 별로 없었으나 친구로부터 돈을 빌린 경험은 37.5%나 차지했으며 청소년들의 한달 용돈은 중학생 1만9천원 고등학생 3만2천원이었다.가장 갖고 싶은 상품은 남학생이 오디오 컴퓨터 자동차를, 여학생은 옷 화장품 콘도등을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