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집에 전화를 했다. 당사자는 부재중이고 아들이 전화를 받으면서 [아버지 처가에 갔습니다]고 부친의 부재를 알려 주었다.자식의 위치에서 외가라는 말이 통상적인 올바른 표현임에도 굳이 {아버지처가}라는 완곡한 표현에 어리둥절하며 황급히 전화를 끊었지만, 웬지 그집아들의 심보가 괘씸하다는 생각과 함께 쓰리디 쓰린 단절의 아픔을 느꼈다.언어 질서가 파괴되어 가고 있는 혼돈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아버지 처가}란 말은 명확하게 뜻을 전달하기 위한 고육지책이 아니었을까 두둔해 보았지만, 뼈속에 스며드는 시린 단절의 아픔을 감당할 수 없었다.언어는 사상과 감정의 표현이다. 우리라는 공동운명체 의식이 없어진 가정은상상만 해도 오싹한 현기증을 느낀다.
우리 기성세대들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분망하게 살아가지 않을 수 없다는 구실로 가정을 {물 없는 연못}으로 만들어 놓고 물을 채워야 된다는 엄연한 사실은 망각한채 그 규모의 확장과 치장에만 급급한 나머지 참된 행복의 터전은상실당하고 있지 않는지 되돌아 보아야겠다.
가정은 사람답게 되기 위한 배움의 장이 되어야 함에도 가정교육은 팽개치거나 아예 포기하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공교육에 전가해 왔다.사랑과 모범으로 가정교육의 근본을 삼을때 자신과 부모를 단절시키는 {아버지 처가}라는 표현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아버지 처가}라는 그 말은 나에게도 올바르게 행동하고 올바른 사랑으로 자식 교육을 시키라는 충고로 들려진다.
풍부한 수확을 얻으려면 가장 좋은 씨앗을 뿌려야 할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