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이기택민주당대표의 기세에 눌려 숨을 죽이고 있던 비주류의 수장격인김상현고문이 김대중아태재단이사장의 국회등원촉구발언으로 매우 고무된 표정이다. 23일오후에는 김고문계의원들이 속속 그의 방에 들러 향후대응책을논의하는등 분주한 모습이었다. 이기택대표의 강경투쟁방침에 반기를 들 유일한 인사로 지목되고 있는 그를 만났다.-김대중아태재단이사장의 국회등원촉구에 대한 느낌은.
*나하고 생각이 같다. 정치를 하겠다는 사람은 국회를 버릴 수 없다. 한일협정비준때나 월남파병때도 국회등원후 병행투쟁을 함께 주장했다. 예산이나 산적한 민생현안심의와 처리는 국회의 당연한 의무이다. 특히 정기국회를 포기하는 것은 더욱 큰 문제이다. 이런식으로 가면 14대국회자체를 포기해야 되는것 아니냐.
-현재 이대표의 장외투쟁노선을 반대하며 국회등원후 병행투쟁을 주창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12.12사건관련자들을 기소해야 한다는데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방법이 문제다. 지금은 이기택대표 혼자 외롭게 싸우고 있다. 국회에 들어와서 예결위나상임위활동에서 소속의원 98명 전원이 줄기차게 이번 사건을 물고 늘어지면된다. 내년도 예산안과 연계시킬 수도 있는 것 아니냐. 그래서 병행투쟁이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지금 투쟁방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무력해질 것이다.-이대표는 26일 대규모 대전집회를 계획하는등 장외투쟁의 닻을 본격 올리려는 구상인데 사견은.
*현재 이대표는 발을 너무 깊게 넣었다고 생각한다. {대표직도 내놓겠다}는식으로 마치 자신의 정치생명을 건 듯한 발언을 하는등 뚜렷한 명분없이 퇴각하기 어렵도록 스스로 만든데도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이대표는 난상토론이있었던 22일의 최고위원및 고문회의에서 당론을 수정했어야 했다. 그때가 절호의 찬스였는데 시간을 놓쳤다.
-앞으로 당론을 고치는데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26일의 대전집회가 끝난뒤부터는 당에 타격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당론변경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