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윤환대표'체제 어떻게 될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김윤환민자당사무총장이 이틀후에는 집권당의 새로운 간판자리에 오를 전망이다. 그는 21일 열리는 민자당전국위원회에서 대의원들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거치면 그는 총재에 이어 당내 제2인자의 반열에 앉게된다.김총장은 집권여당이 가장 시련을 겪고 있는 시점에 대표위원을 맡는다는점에서 의미가 적잖다는 평이다. 발탁배경과 허주체제의 성격 그리고 새대표의 위상,향후 당의 진로및 그에 놓여진 산적한 과제들을 살펴본다.발탁배경은 다소 단순한 편이다. 지방선거참패의 영향이 주요인이었다는지적들이다. 민자당의 동요가 확연했다는 점때문이다. 허주를 제외하곤 민정계 특히 대구경북지역을 진정시킬 마땅한 인물이 없었다는 사실은 다아는 바다.김영삼대통령입장에서는 이외에도 그가 3당통합의 한축인 민정계를 대표하고있고 특히 그가 김대통령만들기의 일등공신이었다는 점에서 '보답차원'에서도 의의를 둘수도 있다. 3당통합의 한갈래였던 김종필씨가 자민련으로 이탈한뒤의 민정계의 대표성을 인정한 셈이다.

일단 정가에서는 새대표체제의 성격에 대한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우선 이한동국회부의장과 최형우,김덕룡의원등 여타당중진들측은 한결같이 '전시관리형 과도체제'로 규정하고 있는 분위기다. 대구경북지역의 이탈을 막고 민정계의 동요를 최소화해서 총선에 임하려는 고육지책차원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듯하다.

당일각에서는 김총장이 지방선거후 대통령에게 킹메이커역할만을 하겠다는의지를 밝혔다는 얘기가나오고 있어 이들은 일단 대권후계자구도에서 김총장이비켜섰다는 측면에서 자위할 수도 있다.

새대표의 위상도 정가관심사중의 하나이다. 이번 당헌당규개정으로 김대통령의 친정체제가 강화되었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새대표의 권한과 역할이 축소되었다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김총장도 '얼굴마담'으로만의 구실은 하지않고 당의 입김을 강화시키겠다고 여러차례 천명한바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대구경북지역국회의원들사이에서는 그가 허세대표가 될경우 총선에서 지역인의 대표등극의 효과가 미미할 것이란 사실을 강조하고 있고 이를 김총장도 잘 알고 있는 상황이다. 김총장자신도 힘이 쏠리지않을 경우 대통령과의 갈등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다. 현재로서는 김대통령은 총선승리를 위해서라도 외형상 새대표에게 정치적무게를 실어 줄것이란 관측도 적잖다. 경북지역의 중진인 박정수의원도"허주가 힘없는 대표가 될 경우 총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서도 일단 여타중진들과 차별성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부여하지 않을 수 없다.다른 중진의원들의 반응이 다소 어두운데서도 이를잘 읽을 수 있다. 김총장이 대통령과의 공식당창구를 맡는데다 총선비상시대표이기때문에 당의 대표성을 독점하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하는 모양이다.어찌되었든 그는 다가오는 총선의 총사령관으로서 김대통령의 그늘속에서도 나름대로 당내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란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특히 대구경북지역의 공천에서는 상당한 권한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한편 김총장이 대표로발탁되더라도 장밋빛 진로만이 기다리고 있는 것은아니다. 당장은 민정계를 추스려야하는 책임을 떠안게되었지만 이 대목도 녹녹치 않다. 충청권은 이탈기류가 숙지지않고 있으며 대구경북권도 현재는 휴화산이지만 총선을 앞두고 이탈조짐을 완전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또 그에게 있어서는 뭐니뭐니해도 총선결과가 가장 마음에 걸리는 대목이다.현재 민자당의 인기를 감안하면 그렇게 좋은 결과를 장담키 어렵다. 정가의 관측은 여소야대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특히 충청권은 자민련이 휩쓸것으로 관측되고 있고 대구경북권도 민자당이 고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총선에서 참패로 끝날경우 그의 진로는 새로운 기로에 설수밖에 없다는 진단이다.이헌태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