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보다 문항수가 많아진데다 주관식 문제가 처음 출제되기는 했으나 주관식에 쉬운 문제를출제하는 등 전체적인 난이도는 되도록 지난해와 비슷하게 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변별력은 높아질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수능출제를 위해 한달간의 연금생활을 마치고 13일 오전 기자회견을 가진 심재기 출제위원장(59.서울대교수.국어국문)은 현행 고교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여러 문제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차적인 사고능력을 측정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고 강조했다.-이번 수능시험은 문항수가 늘어난데다 주관식 문제가 처음 출제되고 통합교과형 문제도 예년에비해 많이 출제되는 등 어려워 질 것이라는 분석이 많은데 난이도조정은 어떻게 했는지.▲출제위원들은 그같은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단일지문에 2~3개 문항의 문제를 함께 출제하는 등 소위 세트 문항을 도입해 수험생들의 입장에서는 지문을 비롯,문제를 읽고 푸는데 지난해보다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되게끔 배려했다.-지금까지 수능시험에서는 각 영역 사이에 수험생들간 점수차가 크게 났었다. 심지어 각 영역별로 평균 20점 이상 차이가 나기도 했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취해진 조치와 현재 평가원의 영역별로 예상하고 있는 평균점수를 공개할 수 있는지.
▲지난해와 별 차이는 없다. 각 영역별 점수차를 줄이기위해 노력을 하기는 했으나 각 영역의 특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했다. 현재 영역별 예상점수를 밝힐 수는 없으며 다만예년과 거의 같을 것으로 보면 된다.
-이번 수능은 본고사가 폐지된 후 처음 실시되는 것으로 당초부터 변별력이 높은 문제를 많이 출제하겠다고 밝혀왔는데 영역별로 이와관련해 어떤 문제들이 출제됐는지.
▲간단히 말해 쉬운 문제를 많이 출제한 반면 어려운 문제도 예년에 비해 많이 냈다. 따라서 하위권은 하위권대로, 상위권은 상위권대로 개인별 점수차는 커질 것이다. 따라서 그만큼 변별력이높아진다고 보면 된다.
-통합교과문제를 얼마나 출제했는지.
▲예를 들어 제3교시 수리탐구Ⅱ의 경우 지난 95학년도에 비해 96학년도에서 10~20%%정도 늘렸다면 이번에도 그만큼 늘렸다고 보면 된다. 이상적인 목표는 수탐Ⅱ의 경우 모든 문제를 통합교과형으로 출제하고 싶었으나 각 과목의 특성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러나 그같은 정신으로 이번 문제를 만들었다고 보면 틀림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