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한국당 전대 대구개최 의미

신한국당은 대선후보인 이회창(李會昌)대표를 새총재로 뽑는 전당대회를 30일 대구에서 개최키로전격 결정했다. 지방 전대개최는 집권여당사상 처음이다.

이에 따라 이날 전대행사에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은 물론 이대표 등 당지도부, 소속위원장 전원등 전국 각지의 전당대회대의원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보여 대구는 해방후 가장 큰 규모의 정치행사를 치르게 됐다. 항상 대선의 방향을 결정한 대구·경북지역이 또다시 정치권을 포함 전국민의 이목을 집중적으로 받을 게 뻔하다.

신한국당이 이처럼 대형 이벤트를 꾀한 배경은 간단하다. 대구·경북지역을 잡지 않고서는 대선에서 절대로 승리할 수 없다는 절박한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이 지역이 영남권바람의 진원지 역할을 하고 있고 특히 보수층의 향배를 결정하는 주요지역이라고 판단했음직하다. 즉 이대표의 지지율 반등의 기폭제로 삼으려는 모습이다. 어찌보면 이번 결정은 배수진을 친 셈이다.사실 근래 신한국당이 이 지역에 대해 들이고 있는 공은 가히 눈물겹다. 이대표의 가장 중요한핵심 측근자리인 총괄정치특보에 강재섭(姜在涉)의원을 발탁했고 경북지역의 두 중진인 장영철(張永喆)의원과 이상득(李相得)의원을 예결위원장과 재경위원장에 임명했다. 그리고 당의 간판인새대표에는 김윤환(金潤煥)고문이 유력하다. 이처럼 지역의 중진들이 당의 전면에 포진된 전례가없다. 이번 대구 전대개최 결정이면에는 강특보의 진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최근 대구·경북지역은 자체 출신인사가 대선에 출마하지 않게 되면서 타지역출신 주자들이 저마다 공략의 0순위로 삼았다. 국민회의의 구애도 적극적이었다. 이 지역을 놓고 각 정당들이 벌이는공략이 점입가경이다.

한편 정가는 이같은 여당의 빅 카드에 대해 서구민주주의식 탈중앙화의 단초를 제기했다는 면에의미를 부여했다면서도 지역민들의 반응이 어떨지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李憲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