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위한 정부 정책자금이 연간 수조원대에 이르고 있으나 대구.경북지역 기업의 수혜율은 3~4%대에 그치고 있어 정책자금 유치를 위한 종합적 정보창구 및 지원체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핵심.전략기술 개발분야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공업기반기술 개발지원자금의 경우 제도가 도입된 지난 87년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2천5백26건 7천3백52억원이 지원됐으나 이중 대구는 83건 1백33억원(1.8%), 경북은 79건 1백67억원(2.3%)에 불과했다.
벤처창업지원자금 역시 올들어 지난달말까지 지원된 5백25건 7백35억원 가운데 대구.경북지역 업체들이 지원받은 것은 18건 29억원(3.9%)에 그쳤다.
이밖에도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 중기청,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각급 기관에서 올해만 수조원대에 이르는 수십종의 자금이 쏟아져나오고 있으나 지역업체들의 수혜율은 5%미만에 머물고 있다.업계와 학계에 따르면 지역업체들은 정보수집 루트가 워낙 취약해 신청 자체가 적은데다 그나마신청업체들도 사업계획서나 제안서 작성 등에 치밀하지 못해 심사과정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적지않다는 것.
실제 벤처창업지원자금의 경우 49개 업체가 신청, 전국의 3.6%에 그쳤고 이 가운데 63%인 31개업체가 사업계획서 부실로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다.
23일 대구에서 열린 벤처플라자에 참가한 산업기술정책연구소 우창화 기술평가부장은 "지방기업들이 정책자금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정보수집과 빈틈없는 사업계획서 작성이 필수"라고 전제한뒤"이를 위해 지자체와 중앙정부 산하기관간 협조를 통한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중소기업 관계자들은 이날 행사에서 "지방기업은 어떤 종류의 정책자금이 있는지 정확하게 알기조차 어려워 지원정책 자체가 '그림의 떡'일 뿐이라는 자포자기 심리가 만연돼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