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파노라마 20세기 문화(14)-스타니슬라브스키

제임스 딘, 폴 뉴먼, 칼 말덴, 줄리 해리스…. 강렬한 내면 연기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 유명 배우들을 배출한 곳은 바로 뉴욕의 이름난액터스 스튜디오. 즉흥연기와 예리한 심리 분석 연습등을 통해 인간의 복잡다단한 성격을 개성있게 그려내도록 미국 배우들의 연기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킨 연기자 양성소다.

1947년 리 스트라스버그 등이 주축이 돼 건립된 이 스튜디오는 그러나 러시아의 위대한 연출가이자 배우였던 콘스탄틴 세르게이비치 스타니슬라브스키(1863~1938)라는 인물이 없었다면 불가능한일이었을지도 모른다.

모스크바예술극장(1898년 건립)의 제작자이자 연출가로 50여편의 연극 작품을 무대에 올린 스타니슬라브스키는 현대 연기론의 기초를 확립한 선구자로 현대 연극의 태동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담배 연기를 뿜으며 고뇌하는 남성, 이별을 괴로워하며 부둥켜안고 흐느끼는 사랑하는 남녀…. 누구나 한번쯤 극장을 찾아가본 사람이라면 무대속 배우들의 사실적인 연기에 마치 자신의 일인양눈시울을 적신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흔히 접하게 되는 사실적 연기들이 바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구결과가 이룩해낸 땀의 결실들이다.

사실 그가 한창 연극에 정진할 30대 무렵인 19세기말만 해도 유럽 연극계는 지금과는 아주 딴판이었다. 스타배우들이 과장된 웅변조로 틀에 박힌 연기를 선보여 관객들로 하여금 연극에 식상하게 만들었다.

스타니슬라브스키는 이런 연극의 허위성과 인위성을 추방하는데 앞장섰다.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연극을 토대로 그의 예술적 파트너이자 연출가였던 네미로비치 단첸코와 함께 모스크바예술극장을 무대로 혁신적 연극의 실천에 앞장선 것.

현실과 괴리된 과장된 연기가 아닌, 자연스런 대사와 몸짓을 무대에 올린 그는 "배우의 창조란배역을 생활하는 것"이라고 부르짖었다.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으로 불리는 그의 연기훈련법은 기교적 감정표현을 거부하고, 등장인물의 심리적·신체적 행동을 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연기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극중인물의 본질에 도달하기 위해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는 일부터 시작, 즉흥적·집중적 훈련과정확한 장치와 의상으로 논리적·과학적 연극을 만들어냈다. "하찮은 배역이란 없다. 단지 하찮은배우가 있을 뿐"이라고 강조한 그는 주역, 단역을 가리지 않고 중용했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출력은 실패만 거듭하던 안톤 체홉의 작품 '갈매기'를 성공작으로 탈바꿈시켰고, 한때 잇따른 실패로 극작을 포기한 체홉에게 용기를 줘 명작 '삼인자매' '벚꽃 동산' 등을 집필하도록 만들었다. 체홉과 마찬가지로 막심 고리키, 레오니드 안드레예프 등 무명의 많은작가들이 스타니슬라브스키로 인해 유명세를 타게 됐다.

그러나 당시 스타배우 무대에 익숙해있던 러시아인들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획기적인 무대에 놀란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연출한 막심 고리키작 '태양의 아들'은 분노한 군중이 노도와 같이 무대위에 밀려드는 장면으로 인해 관객들이 정말 폭동이 일어난 걸로 놀라 도망치려고 해 중도에 막을 내린 일화를 남기고 있다.

실습 위주로 흘렀던 그의 연기훈련법은 말년에 이르러 '나의 예술인생'(1924년작) '배우수업'(1936년작) 등 저서로 완성돼 지금까지 연극 지망생들의 필독서로 읽히고 있다.스타니슬라브스키의 제자였던 브세폴로드 에밀리에비치 메이어홀드(1874~1943)는 스승의 가르침을 뛰어넘어 연기론을 한단계 더 발전시킨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현대 반사실주의연극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메이어홀드는 스타니슬라브스키와 달리 연극이리얼리즘이라는 협소한 현실에 안주하는 것을 거부했다. 표원섭 가야대 교수(연극영화과)는 배우의 육체와 정신을 다같이 중시한 메이어홀드는 체조·무용·곡예 등 신체훈련을 통한 '인체역학'(바이오메카닉스)이라는 새로운 연기 이론을 정립시켜 현대 연기론의 한 맥을 형성하고 있다"고말했다.

〈金英修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