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의 신비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가야금(伽倻琴).우륵 이후 1천500년을 지났건만 그 몸과 소리는 변함없다. 아악과 정악의 풍류가야금, 민속악의 산조가야금등 몸체는 크고 작고 차이가 나지만 맑고 우아한 가야금의 소리는 여전히 우리 소리의 아름다움을 대표하고 있다.
좁고 긴 오동나무 공명(共鳴)통, 명주실로 꼰 12가닥의 줄, 줄을 받치고 있는 안족(雁足), 받침목인 현침(絃枕), 줄을 매어 놓은 부들(일명 染尾). 아담한 몸매는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조형물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가야금이라 불리지만, 이는 한자화된 명칭이고 옛 문헌의 한글표기는 언제나 '가얏고'로 돼 있다.
땅을 포용하듯 휭 둘러쳐진 치마자락. 그 위에서 뜯고 퉁기고, 떨거나 눌러서 꾸며주는 소리는 현란하지는 않지만 소박한 우리 정서를 그대로 보여준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