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교통법규위반 유·무(有無)에 따른 자동차보험료의 할인·할증제 등 차등부과제도 시행방침은 일단 긍정적인 요소가 많은 취지로 받아들여 진다.
교통사고율이 세계최고수준이라는 오명을 씻기 위해 경찰이 최근 수년간 온갖 수단을 동원했지만 감소폭은 미미한 형편인게 현실이다. 이를 감안할때 이 제도시행은 사고율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는게 긍정평가의 주된 요인이다.
또 보험금 잠식률이 높으면 결국 보험료인상으로 이어져 모든 가입자 들에게 돌아가는 불이익을 차단하고 '원인자 부담원칙'에 의거한 형평성을 기했다는 점에서도 이 제도는 균형감각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다시말해 5~10% 할증대상인 음주운전, 무면허, 뺑소니 운전(1회이상이면 대상), 속도·신호위반, 중앙선침범(2회이상이면 대상) 등의 법규위반자들이 사고를 낼 수 있는 위험도가 높은 건 주지의 사실이다.
이들 상습위반자들이 사고를 내 축낸 보험금 감소폭을 법규를 철저히 지킨 모범운전자들에게까지 떠 넘긴다는 것은 누가 봐도 극히 불공평하다. 물론 지금까지도 무사고 운전자에게 보험료 할인 혜택이 없는 건 아니었다.
그러나 이번 제도는 사고이전에 그 위험성이 높은 법규위반 단계에서부터 아예 불이익을 줌으로써 사고자체를 원천봉쇄해 사고율을 그만큼 더 줄이겠다는게 근본취지인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가 정착되려면 우선 단속의 공정성 확보가 최대 선결과제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범칙금에다 2년간 따라다니는 보험료할증이란 이중부담을 안을 법규위반자들이 단속경찰관에게 펼칠 뇌물공세를 어떻게 방지하느냐가 첫째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물론 경찰관의 단호한 의지만 있으면 그만이라고 단언할지 모르나 현실이 그렇지 못한건 지금까지의 경험에서도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 아닌가.
부정개입의 소지가 더욱 많을 건 사실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우선 경찰의 청렴성에 제고를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전국민 감시체계가 시민의식개혁차원으로 승화될 때에야 비로소 단속의 공정성을 근원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을 우리 국민들은 자각해야 한다.
두번째는 단속자료의 관리운영도 큰 문제이다. 경찰서의 컴퓨터 입력단계의 누락여부에서부터 보험회사간의 원활한 통신체계가 완벽을 기하지 못하면 자칫 엄청난 집단 민원까지 야기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세번째로 보험사의 재량권이 많은 개개인의 할인·할증률 적용을 둘러싼 잡음 해소는 투명경영에 있음도 환기하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좋은 제도도 그 시행상의 착오가 많으면 제도자체가 붕괴될수도 있다는 사실을 모든 관련 당사들은 유념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