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통합재정수지 적자액이 정부수립이후 최대규모인 18조7천억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통합재정수지 적자액 비율은 지난 81년 이후 가장 높은 4.2%를 기록했다.
재정경제부는 작년에 일반회계, 특별회계, 공공기금 등 3개 부문을 합친 통합재정의 수입은 96조7천억원, 지출은 115조4천억원으로 집계돼 적자규모와 GDP대비 비율이 이같이 계산됐다고 26일 밝혔다.
재경부 관계자는 "적자액수 절대액으로는 정부수립이후 최대 규모이며 GDP대비적자 비율은 통합재정수지를 내기 시작한 지난 75년의 4.5%, 81년의 4.4%를 제외하고는 최고"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이어 "작년에는 13조5천억원어치의 국채를 발행하는 등 외환위기를 극복하느라 적자폭이 확대됐다"면서 "75년의 1차 오일쇼크, 81년의 정국혼란 등 나라에 큰 위기가 있을 때는 적자폭이 확대되는게 일반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75년 이후 통합재정수지 흑자를 기록한 해는 87년의 GDP대비 0.23%, 88년 1.23%, 93년 0.30%, 94년 0.45%, 95년 0.25%, 96년 0.28% 등 6개연도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