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27일 주재한 정부·재계·금융기관 간담회는 재계에 대해선 구조개혁의 고삐를 더욱 바짝 죄고, '고통전담'의 불만을 가진 노동계를 설득하며, 대외적으로는 한국 기업의 구조개혁을 미심쩍어하는 시각을 교정하는 등 다목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당초 지난달 22일로 잡혀 있다가 '가시적 성과없이는 안된다'는 김 대통령의 지시로 연기된 이날 간담회는 마침 서울지하철 노조의 파업 철회 결정 이튿날 열려 시기적으로도 잘 맞아 떨어졌다.
특히 이날 채권은행단과 산업자원부, 금융감독위 등이 간담회에서 보고한 5대그룹별 구조조정 실적, 그룹간 자율사업구조조정 추진실적, 종합평가 및 향후 추진계획 등의 자료는 5대 그룹의 기업구조조정, 빅 딜 등 사업구조조정 계획과 실적을일목요연하게 비교·평가해 놓은 것으로, 앞으로 5대그룹을 옥죄는 구조개혁의 그물망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구조개혁 이행상황의 철저한 점검을 채권은행단에 주문하고, 채권은행단에 대해선 금융감독위가 철저한 감독을 하도록 지시하면서 '책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금융기관의 경영진에 대한 문책방침을 분명히 했다.
기업 구조개혁 촉진을 위해 '기업-금융기관-금감위'의 먹이사슬 중심에 있는 채권은행단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이다.
김 대통령은 이날 5대 그룹에 대해 "기업구조조정은 기업 자체와 국가 양자의사활이 걸린 문제이므로 자기개혁을 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선 합법적 범위내에서 강력한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구조개혁을 독려했다.
그러나 동시에 "미진한 부분도 있으나 국민이 피부로 느끼게 개혁이 진전되고있어 오늘 간담회 결과를 보면 국민과 국제여론이 호전되고 재계에 대한 신뢰심도 상승할 것"이라고 격려도 했다.
이어 김 대통령은 정치권에 대해서도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공동여당은 물론 야당도 초당적으로 구조조정에 참여해 국가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야당의 비판 가능성에 쐐기를 박았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