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자체도 조직개편 회오리

중앙정부 조직개편에 이어 이달말부터 지방정부 조직개편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여 기구축소, 인력감축 등으로 지방공직 사회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이번 지방정부 조직개편은 본청보다는 연구소·교육원·사업소 등이 대폭 민간위탁되거나 통폐합될 것으로 보여 외청이 심한 된서리를 맞게 된다.

대구시는 연내 신천수질환경사업소와 청소년 수련원을 민간위탁하기로 이미 결정했으며 2002년까지 민간위탁할 대상을 선정 중인데 달서천 환경사업소(북부하수처리장 포함)와 서부수질 환경사업소는 위탁을 원칙으로 했다.

이밖에 대상 선정으로 지목되는 사업소는 공원관련 사무소로 달성공원·앞산공원·두류공원 관리 사무소 3곳이다. 체육관련 시설인 체육시설관리사무소·대구체육관도 민간으로 넘어 갈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문화관련 시설인 문화예술회관과 어린이회관도 현재 적자를 내고 있는 사업소지만 경영을 원하는 민간이 나타나면 과감하게 위탁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현재 21개 사업소 중 절반이상이 조직개편에 휘말리게 된다.

한편 통합될 분야로는 공무원 교육원과 보건환경연구원이 가장 먼저 지목되고 있다. 대구·경북이 각각 비슷한 성격으로 운영하고 있으므로 권역별 광역화 차원에서도 양기관의 통합은 자연스러울 것이란 진단이다.

이밖에 종합복지회관·여성회관·동부여성문화회관 등도 통폐합을 하든 민간위탁을 하든 불가피하게 몸집을 줄여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조직개편과 맞물려 불어닥칠 것은 인원감축 태풍.

대구시의 경우 현재 정원 1만292명에 현원은 1만886명으로 594명이 정원초과 상태다. 정부에서 이들 과원을 보호하기위해 지방공무원의 퇴직유예기간을 2년으로 했으나 최근 중앙공무원 수준인 1년으로 줄일 방침이라 일단 정원초과 인원은 연내 정리될 것이 확실시된다.

대구시 인사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1차 개편때 39년생(5급이상)이 정리됐고 올해는 40년생이 해당될 것"이라며 "강도에 따라 41년생도 포함될 수 있다"고 피력, 지방 공직가에 인사 회오리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