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기름값을 비롯한 차량유지비에 경제적 부담을 느끼면서도 경차를 구입할 의향은 별로 없는 등 이중적인 소비행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은 서울지역 자가운전자 81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4.8%가 '차량유지비로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차량유지비가 비교적 적은 경차를 구입할 의향은 18.9%에 불과했다고 1일 밝혔다.또 우리 현실에 경차가 적합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17.6%에 머물렀다.
응답자의 84.5%는 특히 '차량의 크기에 의해 차주가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고 대답,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자동차를 신분과시용 사치품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여전함을 보여줬다.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경차의 안 좋은 점은 '안전성'이 71.9%. '좁은 실내공간'이 9.9%로 나타났다.
경차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세금 및 혜택이 증가해야 한다'는 대답이 28.1%, '제조회사에서 더 잘 만들어야 한다'가 26.6% 등이었다.
한편 연구원은 경차보급을 위해 남산 1.3호 터널에 부과되는 혼잡통행료를 면제하고 관용차를 경차로 하는 방안 등을 정부측에 건의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