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서해 연평도 인근 서해상에서 벌어진 남북 해군함정 간 교전사태로 북한의 40t급(신흥급) 제1806호 어뢰정 1척이 침몰했다. 또 155t급 경비정 1척이 반침몰하는 등 북한 함정 5척이 침몰되거나 대파됐다.
우리측 해군이 북한 해군 함정을 격침시킨 것은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이후 처음이다. 침투 간첩선을 침몰시킨 사례는 있었으나 정규군끼리 교전을 벌여 해군함정을 격침시킨 것은 이번이 첫 사례이다.
제1806호 어뢰정은 북방한계선 남쪽 5㎞, 연평도 서쪽 13.2㎞ 해역에서 피격됐다. 우리측 관할해역에 가라앉아 있는 유일한 북한 해군 함정인 셈이다.
미국 CNN방송은 이번 교전에서 북한군 30명이 사망하고 70명이 부상했다고 미국관리들의 말을 인용,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침몰된 제1806호 어뢰정은 승선인원이 17~18명 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져 어뢰정 승선원 외에 다른 함정의 북한 해군까지 사망, 해저에 수장돼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반면 동해에는, 이미 일반인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지 오래지만, 우리 해군경비함 1척이 수장된 채 30여년간 방치돼 왔다. 동해경비분대 소속 PCE56함(당포호)이다.
당포호는 동해 해상경계선 근해에서 명태잡이 어선 보호작전 중 67년 1월 19일 오후 2시 34분 북한 육상포대로부터 20여분에 걸쳐 200여발의 집중포격을 받고 격침됐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포호는 정전협정 체결 후 북한군에 의해 격침된 첫 해군함정이다.
당시 당포호는 어군을 따라 가는 데 정신이 팔린 나머지 어로저지선과 해상경계선을 넘어 간 70여척의 우리측 어선단을 북한 함정이 나포하려 하는 것을 발견, 우리 어선들을 남하시키고자 했을 때 북한의 해안동굴 진지에 거치된 육상포대가 불을 뿜었다.
오후 1시 50분부터 집중포격을 받은 당포호를 구하기 위해 급거 달려온 53함이 3인치 포 등 100여발을 쏴 응전했으나 당포호는 선체에 명중탄을 맞고 북위 38도 39분 45초, 동경 128도 26분 47초 해상에서 침몰했다고 당국은 밝혔다.
이 교전사태로 승무원 79명(장교 8명 포함) 중 전사 39명(장교 2명 포함.실종자 포함), 중상자 14명, 경상자 16명이 발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