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金鍾泌)총리가 지난 14일 자민련 소속 의원들에게 500만원씩 돌린 '오리발'이 정치쟁점으로 비화하면서 예측불허의 상황을 맞고 있다.
김총리는 18일 이 문제가 야당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불러일으키자 기자회견을 자청해 진화에 나섰지만 좀체로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특히 총리해임안을 국회에 다시 제출해 놓은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을 총리해임안과 연계시킬 태세고 자민련 내부 반JP파의 움직임도 심상찮게 돌아가고 있다.
김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민련 당후원비로 걷힌 돈 가운데 금년에 두차례에 걸쳐 1억원씩 2억원을 사무총장으로부터 건네받은 것"이라며 "당에서 여유자금이 있어 쓰라고 보낸 것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김현욱사무총장도 "지난 2월 중동 방문을 앞두고 1억원을, 지난 6월초 남아공 방문을 앞두고 1억원을 갖다 드렸다"며 "김총리가 직접 서명한 자필 영수증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총장은 "해외여행이 계기가 돼 드린 것이지만 국회가 끝난 뒤 의원들의 귀향보고 등 의정활동을 위한 보조를 위해 사용하실 것으로 알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같은 해명이 야당과 시민단체에는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 특히 야당과 시민단체 측은 정부와 여당이 부패방지대책을 내놓은 시점에 이같은 문제가 터졌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당초 사건이 터졌을 때 자금의 출처를 문제삼았던 한나라당은 김총리의 기자회견후 "집권층의 이중인격을 드러낸 대표적 사례"라면서 무차별 대여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부영총무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정부여당이 만들겠다는 반부패특위의 조사대상 1호는 김총리"라면서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총리해임의 사유가 된다"며 총리해임안과 연계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시민단체의 반응도 격해지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에서 "정부가 하위직 공무원에 대해 공직자 10대 준수사항 등을 제정하며 각종 노력을 하고 있는데 국무총리가 잘못된 관행을 되풀이 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계파를 관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활동비를 제공한다는 것은 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게다가 김총리의 당 추스르기 과정에서 느닷없이 이번 오리발사건이 터지자 김용환·이인구 전부총재 등 그동안 반JP깃발을 들어온 내각제 강경파들이 향후 사건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등 이번 사건이 자칫 또다른 당 내분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李相坤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