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9월 24일 서울 새문안교회에서는 조선예수교장로회를 비롯해 남감리회, 미감리회, 조선선교회 장로파 및 감리파, 영국성서공회, 조선그리스도교 청년회 등 개신교 주요교파의 지도자들이 모여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를 출범시켰다.
이것이 지난 75년 동안 한국 개신교의 일치운동과 인권 및 민주화 투쟁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시작이었다.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는 1951년 한국기독교연합회로 이름을 바꿨다가 1970년부터 지금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구세군 대한본영, 대한성공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한국정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등 8개교단이 가맹돼 있다.
KNCC는 일제시대에는 민족계몽운동에 앞장섰으며 해방 후에는 재건과 일치운동에 나서는 한편 54년 기독교방송(CBS)를 설립해 복음과 정론을 전파해왔다.
60∼70년대에 들어서는 '국가재건최고회의 박정희 의장에게 보내는 공개서한'(63년), '3선개헌을 반대하는 교회 성명'(68년), '대통령 긴급조치 해제에 관한 담화문'(74년) 등을 발표하고 구속자를 위한 목요기도회를 정례화하는 등 '민주화운동의 기수'로 등장했다.
80년대부터는 통일운동, 농민운동, 환경운동, 여성운동, 종교간 화합운동 등으로 활동분야를 확대해왔으며 2000년을 앞두고 새로운 활동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KNCC는 지난 4월 세계교회협의회(WCC) 콘라드 라이저 총무를 초청해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 데 이어 30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정동 성공회대성당에서 창립 75주년기념예배를 올린다.
이날 행사에는 가맹교단의 대표와 함께 고산 조계종 총무원장과 정진석 천주교서울대교구장 등 각 종단 대표, 겐니쓰 오쓰 일본 NCC 총무, 비가맹 개신교단 대표, 정-관계 인사, 주한외교사절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