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毛澤東)은 일찍이 민심을 물길에다 비유했다. 중국 공산당이란 배가 민의에 부합할땐 순항할 수 있지만 배가 물살을 거스를 경우, 이를 전복시킬 수도 있다는 함의(含意)였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추석 연휴를 맞아 모처럼 공부다운 공부를 한 모양이다. 저마다 민초들로부터 따가운 한마디씩을 들은 모습이 마치 시험을 치른후 성적표를 받아들고 낭패한 얼굴을 한 학생들을 연상케 한다. 여야간에 단연 압권은 '차라리 저주에 가까운 말을 들어야 했다'고 벌레씹은 얼굴 모양을 했을 권철현 의원의 말이다. 자신들의 변명이야 어떻든 이미 내년 총선을 겨냥해 날을 세운 민의의 표출이다. 이 정권 탄생의 심장부였던 광주에서도 2여 합당을 놓고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더라'는 이영일 의원의 말로 완곡한 비판적 시각에 접해야 했다. 박종근 의원은 '정치를 못믿겠다는 데에 여야가 따로 없는 것 같았다'고 말해 지역의 야당에게 무조건적 지지에 가까웠던 정서가 조금씩 바뀌고 있음을 전했다. 이같은 지적은 안택수 의원의 '민심이 갈 데가 없어서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것 같았다'고 한 말에서도 읽혀진다. 그러나 민심이 갈 데가 딱히 없는 것은 아닐 듯 하다. 한나라당 이외의 곳으로 갈 수도 있음을 그들은 아직 모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그것이 여당쪽이든 무소속이든. 그런 점에선 장영철 의원의 '신당이든 합당이든 승산이 없을 것 같다. 살 길은 중선거구제 밖에 없다'고 한 말이 차라리 솔직하게 들린다. 야당이 제목소리를 내야 할때 못내고 시민들이 지역의 산적한 현안 사업들에 무력하다고 판단할 때도 이른바 '반사 이득'을 기대할 것인지 모를 일이다. 소금이 짠 맛을 잃을때 더이상 소금일 수 없듯 추락하는 지역 경제, 따올 수 있는 예산도 제대로 못챙겨 인천.대전 등지에 들렀다 온 지역 시민들의 어깨를 축 처지게 하는 데서 의원들이 처하고 있는 좌표를 재점검해야 하는 당위가 있다.
최창국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