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지역감정(차별)을 직접 체험한 사례는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 정도에 대해서는 양 지역 시민들이 서로 엇갈린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청년연합회 대구지부와 광주지부가 9월 한달간 대구시민 300명, 광주시민 27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 지역감정을 직접 경험한 경우는 대구 10.7%, 광주 13.4%라고 응답했다.
반면 언론, 친구 등으로부터 들었다는 간접체험이 대구 43.7%, 광주 43.1%, 경험하지 못했다가 대구 43.7%, 광주 39.9%로 나타나 지역감정이 구체적 사실에 입각하지 않은 막연한 심리상태에서 비롯된 것으로 드러났다.
현 정부 출범후 지역감정 변화상에 대해서는 대구시민 24.3%가 개선되고 있다고 응답, 더욱 심화되었다는 24%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광주시민은 60.1%가 개선되고 있다고 대답,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또 김대중 대통령 임기만료시 지역감정 정도와 관련, 대구시민은 29.7%만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데 비해 광주시민은 51.4%가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감정을 심화시키는 원인으로는 양 지역 모두 정치인의 권력다툼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 지역감정에 대한 고정관념, 불균등한 지역발전, 언론의 지역감정 확대보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감정을 가장 심화시킨 정권에 대해서는 대구는 전두환정권 50.5%, 박정희정권 26.3%, 김영삼정권 13.7% 순으로 꼽았으며 광주는 박정희정권 46.7%, 전두환정권26.4%, 김영삼정권 14.5%의 순이었다.
또 김영삼 전대통령의 정치재개가 지역감정에 미칠 영향과 관련, 대구 61.3%, 광주 90.6%가 지역감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응답, 지역감정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대답 대구 3.3%, 광주 3.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외 대구는 시민단체, 광주는 대통령의 지역감정 해소 노력을 가장 높이 평가 했으며 지역감정 해소를 위해서라면 우리 지역이 손해를 감수해도 좋다는 응답은 대구 80%, 광주 77.9%로 나타나 지역감정 해소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