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지산 하수처리장 입찰 자격 문제로 불거진 대구시종합건설본부의 파행 운영은 건설 행정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줬다. 무엇보다 공공기관의 생명인 객관성, 공정성을 의심받았고 간부들의 비리가 드러나 충격을 더했다.
5월 삼성엔지니어링 입찰 자격 문제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종합건설본부는 하반기 가창.청도간 국도 확장공사 발주에서도 예정가 유출 의혹을 받았다. 주어진 재량권을 남용, 특정업체에 유리한 정보를 흘리는 비리로 이어졌다.
건설현장에서 연간 수억원의 월례비가 조성돼 공무원에게 상납된다는 사실까지 확인됐다.
본지 보도에 이어 시의회에서도 질책받았다. 대구시는 사안의 진실에 접근하려는 노력보다 추측과 모함에 의한 문제제기라는 데 초점을 맞춰 본질을 호도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종합건설본부는 재량권을 줄이는 선에서 입찰 제도를 바꿨다. 이 제도는 상수도사업본부를 비롯한 대구시 산하 기관에 전파됐다. 건설업계가 구태를 벗는 계기가 됐다는 지적이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