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축전염병 검역 겉돈다"

구제역으로 의심되는 가축전염병이 발생한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금파1리에서 인근 군부대 장병들이 건초더미 등 오염물질을 소각하며 입고 있던 보호복을 벗고 있다.

경기도 파주에서 발생한 가축전염병이 '의사 구제역'으로 규정된 가운데 가축질환 감염 경로에 대한 보건당국의 검·방역 체계에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은 29일 성명서에서 97년 대만에서 구제역이 발생, 41조원이라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농·축·수산물 개방 및 밀수 성행 등으로 우리도 구제역 가시권내에 있었음에도 당국은 사전 예방·검역체계 강화 등 철저한 대비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축협 관계자들은 보건당국이 서둘러 예방백신을 해당 가축들에 접종하고 있으나 그 항체가 한달 후에나 형성, 별 효과가 없다며 정부의 방역조치가 '돼지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이라고 비난했다.

관계자들은 또 "수입개방으로 국내에 들어오는 축산물은 연간 80여만t에 달하지만 이를 검역하는 인력과 장비가 충분치 않아 지방에서 검역시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장비가 있는 서울로 보내 재검사를 실시하는 형편"이라고 밝혔는데, 일부 검사장에서는 눈짐작이나 서류검토만으로 검역을 끝내는 경우가 허다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축산전문가와 축농가에서는 또 주요 전염병 백신을 농가가 구입토록 한 것은 우리 농촌실정에 비춰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 국가에서 무상 지원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의사 구제역 파동에 따라 29일 축협 서울 공판장의 쇠고기 값(1kg)이 27일 7천790원에서 29일 6천779원으로 14%나 폭락, 돼지에서 시작된 홍수출하조짐이 소 쪽으로도 확산되고 있음을 반증했다. 소 출하물량도 27일 265마리에서 29일엔 465마리로 이틀새 거의 두배 가까이 늘어났다.

양돈가에서는 농림부가 29일 일본 돼지고기 수출 물량을 전량 수매키로 하면서 규격돈(100~110kg)마리당 14만 3천원씩 보상키로 한데 대해 최소한의 경영비도 나오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농림부는 이날 경기도 파주에서 발생한 괴질이 구제역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영국 펄브라이트 구제역 표준연구소에 시료를 전달, 정밀분석을 요청했다.

裵洪珞·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