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자동차 1천100여만대의 시대에 살고 있다. 대구만도 65만대의 자동차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70만대가 넘어설 전망이다. 해마다 교통부문에 투입되는 예산은 무려 10조원 이상이다. 하지만 교통문화 수준은 나아지기는 커녕 되레 뒷걸음질하는 느낌마저 없지 않다. 교통사고로 하루에 20여명이 죽고 70여명의 장애인이 생기는 데도 우리는 너무나 감각이 무뎌져 있기도 하다.
대구시의 경우도 이면도로나 주택가 골목길마저 교통 사정이 심각해진지는 이미 오래다. 당국은 무질서한 주차와 교통 소통을 위해 일방통행을 확대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별반 나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중심가의 교통문제에 대해서는 심지어 '마치 터널 속에서 꼼작하기 어려운 차량과 같은 신세가 됐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최근 대구시의 교통영향평가 심의 기준이 들쭉날쭉해 신뢰를 잃고 있다. 오히려 교통체증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부를지도 모른다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대구시가 중구 문화동 옛 국세청 자리에 짓다만 대우센터빌딩 인수자로 나선 서울의 패션몰업체 밀리오레의 교통영향평가 심의 신청을 앞두고 '봐주기식 사전 조율'의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밀리오레는 현재 1천500평인 대우센터빌딩의 판매시설 면적을 8천평으로 늘린 상태로 교통영향평가서를 작성, 대구시에 심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진다.
대구시는 그 요구대로 심의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하더라도 그 요청을 원칙적으로 수용할 방침이어서 주변 상가의 반발과 '특혜'라는 의혹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게 된 것 같다. 대구시는 '시장경제 논리에 따랐다'고 기본 입장을 밝히고 있으나 맞은편의 밀라노존이나 반월당의 삼성금융플라자 건축 허가 때와도 대조적이다. 더구나 당초 대우측의 유통시설 건립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호텔로 건축 허가를 했던 것도 한일로의 교통체증 문제 때문이지 않았던가. 대구시가 예상되는 교통혼잡과 특혜시비를 감수하면서까지 밀리오레의 진출을 돕는 까닭은 아무래도 아리송하기만 하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