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문제를 다루기 위해 10일 오후 열린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간담회에 낙선 또는 불출마 의원들이 대거 참석, 파장에 접어든 15대 국회 막판까지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간담회에는 총 12명이 참석했으며 이 가운데 원내 재진입에 실패한 민주당 조순승(趙淳昇) 양성철(梁性喆) 김상우(金翔宇), 한나라당 김수한(金守漢) 김명윤(金命潤) 이신범(李信範), 자민련 이건개(李健介) 의원 등 7명도 자리를 지키며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열띤 질의를 벌였다.
김명윤 의원은 "실무접촉협상이 예상보다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은 북한이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김일성(金日成) 묘소 참배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냐"고 물었고, 김수한 의원은 "혹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대리인이 정상회담에 나서는 것은 아니냐"고 추궁했다.
또 김덕룡(金德龍) 의원은 "남북이 두개의 국가가 아닌데 굳이 우리측이 정상회담이라는 말을 고집할 필요가 있는지, 표현상의 문제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이어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주로 야당의원들은 남북정상회담을 총선 사흘전에 발표한 배경, 대북지원 비료 20만t 제공과 관련한 이면합의 의혹, 상호주의 원칙 견지여부 등에 관해 집중적으로 물었다.
특히 야당 의원들은 국가보안법 폐지, 주한미군 철수 등은 절대로 양보해서는 안된다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규(朴在圭) 통일부장관은 이에 대해 "이면합의는 전혀 없었으며, 총선에 임박해 남북정상회담 개최사실을 발표한 것은 오히려 북한측이 원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흥수(柳興洙) 통외통위 위원장은 김정일 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와 관련, "우리측이 실무접촉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보고받았으나, 합의서에는 아직 포함되지 않은 것 같아 실현여부는 낮다는 감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통일부 고위관계자는 "유 위원장이 그런 감을 받았다는 것과 우리가 북측에 답방을 요구했다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며 불필요한 해석을 경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