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회창 총재 정상회담 공조 제동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15일 정상회담 공조에 브레이크를 걸고 나왔다. 발단은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에 여야 3당 지도부 한 사람씩을 포함시키겠다고 나선 때문이다. 게다가 한나라당 대표로는 박근혜 부총재가 거명되는 등 이 총재 입장에서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 격이다. 이날 이 총재 입에서는 "이것은 여야 영수회담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했던 약속 위반"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자칫 정상회담 공조를 확약하면서 '상생의 정치'를 선언했던 4.24 영수회담이 무위로 돌아갈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 총재가 이같은 태도에는 이유가 있다. 우선 청와대 태도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신과의 영수회담 후 군소정당 후보나 YS를 끌어들인 것도 불만인데 이번 정상회담 야당 인사 포함과 관련해서는 자신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박 부총재가 거명됐다. 이 총재가 "초당적 협력이라는 것은 무조건 협력이 아니라 올바른 일에 협력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청와대가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청와대 박준영 대변인은 이날 한나라당 권철현 대변인을 전화로 부랴부랴 찾았다. 좀체 보기드문 일로 이 총재 분위기 탐색을 위한 통화로 보인다.

이 총재는 또 청와대의 정상회담 추진과정에 대해서도 강한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의 주체가 누구인지, 의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이 없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회담의 주체가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아니라 김영남과 정상회담을 하는 것 아니냐"고까지 말했다.

의제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다. 의제가 다 결정됐다고 생각하는데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이유에 의문이 많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총재는 당 남북관련 대책위에 이날 정부에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도록 지시했다.

또 이 총재의 대북관에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 총재가 정상회담 추진과정을 거론하면서 비판적인 대북관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박 부총재의 대표단 합류거부 의사를 분명히 하면서도 북한의 통일전선전략을 거론했으며 대북 비료지원에 대해서도 상호주의원칙 고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총재는 실무접촉에서도 북에 끌려다니는 듯한 분위기가 걱정된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李相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