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이 금융불모지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는 지적(매일신문 25일자 1면)이 제기된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를 뒷받침하는 보고서를 냈다.
한국은행 대구지점은 26일 '외환위기 후 대구지역 금융시장에 나타난 특징'이란 보고서를 통해 외환위기 이후 지역 금융기관 영업활동이 위축되고 지역금융자금의 역외유출이 심화되는 등 지역금융이 총체적 위기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
▲지역금융기관 영업활동 위축
지역경제 회복지연 및 많은 지역기반 금융기관의 퇴출 등으로 지역금융기관의 여수신이 전국에 비해 크게 부진했다.
외환위기 이전(91~97년)에는 여수신 모두 해마다 20% 내외의 증가율을 보여 전국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외환위기 이후인 98, 99년엔 수신증가율이 1.0%로 전국(6.8%)의 7분의 1에 불과했다. 반면 여신감소율은 -10.6%로 전국(-5.6%)의 2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99년말 기준 전국대비 지역 여수신 비중은 97년말보다 수신은 0.3%포인트, 여신은 0.5%포인트가 각각 하락했다.
특히 내년 예금보호한도 축소를 앞두고 최근 전국형 금융기관으로의 수신집중 현상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3월말까지 전국형 금융기관의 수신은 지난해말보다 9.4%가 증가한 반면 지역기반 금융기관은 1.6% 증가에 그쳤다.
▲ 지역금융자금 역외유출 심화
3월말 기준으로 생보사 및 투신사를 제외한 지역금융기관의 예대차는 8조5천800억원으로 97년말보다 6조2천500억원이나 증가했다. 예대차의 대부분이 본지점계정(연합회 및 중앙회 포함) 또는 유가증권 투자 등을 통해 서울로 집중되는 형편. 99년말 지역 개인투자자의 보유주식 시가총액은 5조980억원으로 97년말보다 약 7배 늘었다. 증권시장 지수상승률 등을 감안하더라도 2조원 내외의 개인자금이 증권시장을 통해 역외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거래소 상장 및 코스닥 등록법인의 지역소재 비율은 1.9%에 불과해 증시자금의 지역환류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 지역은행의 산업자금 대출비중 축소 및 구성 변화
지역은행의 산업자금 대출비중은 93년 82.7%에 달했으나 97년말 79.1%, 올해 3월 76.7%로 계속 낮아졌다. 지역경기 회복지연에 따른 수요부진에다 지역은행의 대출심사기능 강화 등에 따른 영향 때문. 반면 가계자금 대출비중은 97년말 20.9%에서 올해 3월 23.3%로 상승했다.
산업자금 중에서는 제조업 대출비중이 외환위기 후 총대출금의 50% 밑으로 크게 하락한 반면 건설업과 서비스업 대출비중은 높아져 업종간 경기부침을 반영하고 있다.
李大現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