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융노조 요구사항 정부, 절충방안 검토

내일 勞-政 2차협상금융노조와 정부는 오는 9일 오후 금융 총파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차 협상을 벌여 막판 타협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하고 8일부터 최종 협상안 마련에 들어갔다.7일 첫 협상에서 금융노조는 △관치금융 철폐를 위한 특별법 제정 △정부 주도로 합병 등을 추진할 경우 이를 문서화해줄 것 △금융지주회사 도입 유보 △지주회사를 만들더라도 노조입장 반영장치 우선 마련 등을 요구했다.

정부측은 지금까지 관치금융은 없었으므로 특별법을 제정할 수 없고, 금융지주회사는 시장논리에 따른 금융구조조정 방안의 하나라고 노조측 주장을 반박했다. 금감위는 이용근 위원장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어 금융노조의 요구사항 중 수용가능한 부분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있으며 9일에는 정부 입장을 조율한 2차 협상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금융노조는 합의할 여지가 전혀 없어 2차 협상에서 타결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히면서도 내부적으로 수용할만한 명분이 주어질 경우의 협상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노조는 특히 수협노조의 파업불참 선언, 금융감독원의 파업예상 은행 전산실 접수, 대구은행을 비롯해 국민.주택.기업.조흥은행 등 대다수 은행들의 파업시 정상운영 선언 등에 따라 파업을 강행하더라도 애초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고심하고 있다.

한편 1차 협상 결렬소식이 전해지면서 대구.경북지역 기업들은 파업동안 소요자금에 대한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 대구 성서공단의 한 기업체 대표는 "최대한의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파업 하루전인 10일까지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구미공단 전자부품업체 관계자는 "파업이 벌어지면 부도사태 등을 막기 위해 금융권 휴무와 같은 방식으로 결제일을 늦춰주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李相勳기자 azzza@imaeil.com

鄭敬勳기자 jgh@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