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30일 일제침략에 맞서 경술국치일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 의열투쟁을 확산시킨 일완(一玩) 홍범식(洪範植.1871-1910) 선생을 광복회 등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1871년 충북 괴산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난 선생은 어려서부터 성리학을 익혀 충효를 최고의 덕목으로 삼았으며, 1888년 진사시에 합격한 뒤 1902년 내부주사를 시작으로 관직에 들어섰다.
이후 혜민원 참서관을 거쳐 지방관으로 나가 1907년 태인군수, 1909년 금산군수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었다.
그러나 1905년 을사늑약과 1907년 정미7조약에 이어, 1910년 8월29일 한일합방조약이 공포되자 선생은 "이미 사방 백리의 땅을 지키는 몸이면서도 힘이 없어 나라가 망하는 것을 구하지 못하니 죽는 것만 못하다"며 관아 객사에서 목매 자결했다선생은 순국하기전 장남 등 아들들에게 보낸 유서를 통해 "너희들은 조선사람으로서 의무와 도리를 다해 빼앗긴 나라를 기어이 되찾아야 하며, 죽을지언정 친일을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마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