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올림픽에서도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겠다'우락부락한 상체에 태극마크를 단 레슬러들이 20여일 앞으로 다가 온 시드니올림픽에서 개인뿐 아니라 조국의 명예를 더 높이겠다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레슬링은 올림픽때마다 한국의 메달밭이었던 효자종목.
새 천년을 여는 첫 올림픽에서도 레슬링은 변함없이 효자 노릇을 할 전망이다.
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서 양정모(자유형 62㎏)가 우승, 한국의 올림픽 첫 금메달을 일궜던 레슬링은 이후 올림픽에서 매번 1-2개의 금메달을 따 한국이 세계스포츠 강국으로 부상하는 데 가장 큰 몫을 해냈다.
84년 LA올림픽에서 김원기(그레코로만형 62㎏)와 유인택(자유형 68㎏)이, 88년서울올림픽에서는 한명우(자유형 82㎏)와 김영남(그레코로만형 74㎏)이, 이어 92년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는 박장순(자유형 74㎏), 안한봉(그레코로만형 57㎏)이 나란히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96년 애틀랜타에서는 심권호(그레코로만형 48㎏)가 금메달 전통을 이었다.
이번 시드니올림픽에서 한국 레슬링은 '금메달 3'이라는 올림픽 사상 역대 최고성적을 노린다.
그러나 부상 등으로 인해 차질이 생기는 '만일의 사태'를 우려, 한국선수단에는목표를 금메달 2개로 낮춰 보고했다.
그레코로만형 방대두 감독은 "그레코로만형에서만 금메달 3개가 나올 수도 있다"며 "자유형에서는 아예 금메달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돼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며 목표를 넘을 수도 있음을 은근히 내비치고 있다.
한국선수중 금메달 0순위는 심권호(주택공사).
이미 애틀랜타올림픽 48㎏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던 심권호는 이듬해부터 국제레슬링연맹(FILA)이 체급을 상향조정하면서 54㎏급으로 올렸다.
한때 체급조정에 따라 좌절을 맛보기도 했던 심권호는 아시아선수권,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에서 이미 '동급 최강'임을 입증, 올림픽 2연패가 기정사실화됐다.
심권호는 48㎏급 시절 아시안게임, 아시아선수권, 올림픽, 세계선수권 등 4개메이저대회에서 우승,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는데 이번 올림픽에서 우승할 경우 2체급 그랜드슬램을 이루게 된다.
그레코로만형 58㎏급의 김인섭(삼성생명)도 강력한 금메달후보다.
김인섭은 98년 이후 3년동안 단 1패도 당하지 않으며 41연승을 달리고 있는 '무적'으로 역시 아시안게임, 아시아선수권, 세계선수권을 모두 휩쓸어 이번에 올림픽을 우승하면 이 체급 그랜드슬래머가 된다.
95년부터 97년까지 세계선수권대회를 3연패했던 멜니첸코(카자흐스탄)가 김인섭에게 강력하게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레코로만형 69㎏의 손상필(주택공사)도 세계선수권대회(97, 99년)와 아시아선수권대회(96, 99년)서 2번씩 챔프에 올랐고 방콕아시안게임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강호로 금메달후보 0순위로 손색이 없다.
러시아, 벨로루시 등 전통강호 출신 선수들과 혈전을 벌일 전망이다.
그레코로만형과 대조적으로 자유형은 예상 금메달이 없다.
그러나 이는 외부로 드러낸 '겸손한' 목표일 뿐 김태우 감독의 머리에는 금메달을 따기 위한 시나리오가 준비돼 있다.
특히 98년에 아시안게임 우승, 세계선수권 2위를 일궜던 문의제(76㎏급)와 96년애틀랜타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양현모(85㎏)가 상위에 입상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